목차
-차 례
한국어판을 위한 서문
서문
〈b〉1장〈/b〉 그 연혁, 개요, 최신의 연구 성과 ―이시카와 야스히로의 첫 번째 편지(2021년 2월 15일)
1. 『자본론』은 어떻게 성립하였는가?
2. 『자본론』 전 3부의 개요를 해설하기
3. 최신의 연구 성과와 관련해서
〈b〉2장〈/b〉 자본이 처음으로 날것의 인간에 닿을 때 ―우치다 다쓰루의 첫 번째 편지(2021년 5월 8일)
1. ‘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가 중국과 한국에서 받아들여지다
2. 자본주의의 시작에 본질이 집약되어 있다
3. 자본주의는 이렇게 생성되었다
〈b〉3장〈/b〉 미래 사회는 어떻게 그려졌는가 ―이시카와 야스히로의 두 번째 편지(2022년 6월 27일)
1. 마르크스의 공황론, 혁명론의 발전
2. 자본주의의 발전이 미래 사회를 준비한다
3. 미래 사회란 어떤 사회인가
4. 미래 사회의 몇 가지 측면에 관해서
〈b〉4장〈/b〉 대홍수란 무엇인가: 자본주의와 세계의 미래 예측 ―우치다 다쓰루의 두 번째 편지(2023년 1월 11일)
1. 홍수는 내가 죽은 후에 와라
2. 인구가 증가하지 않는 시대에 대한 예측
3. 자본주의가 종언하는 역사적인 조건은 여기에 있다
4. 계급투쟁보다도 좀 더 근원적인 투쟁이 벌어진다
〈b〉5장〈/b〉 관련 문헌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에 관해서 ―이시카와 야스히로의 편지(2016년 8월 15일)
1. 대공업이 만들어 낸 노동자 생활의 비참함
2. ‘노동운동’의 급속한 발전과 사회개혁의 전망
3. 젊은 엥겔스의 사상 형성
『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 2』 중국어판을 위한 서문 ―이시카와 야스히로, 우치다 다쓰루
일본에서의 마르크스주의 운동과 연구
일본에서 마르크스 수용의 특징에 관해서
후기: 그래서 마르크스주의자는 누구냐고?
한국어판을 위한 후기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