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서론
1. 전문직 간 및 글로벌 보건의료정보학의 관점에서 본 간호정보학 2
2. 보건의료정보학의 원칙 10
Part 2 360도 이해관계자 관점
3. 환자 관점: 데이터 편집장으로서의 환자 30
4. 간호사 관점: COVID-19 팬데믹 시기의 이해관계자, 도전, 혁신 36
5. 의사 관점: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의 우선순위와 과제 44
6. 약사 관점: 환자중심 케어 54
7. 최고정보책임자 관점: 관찰, 관점 및 의견 62
8. 최고간호정보책임자 관점: 정보학 기반 보건의료를 위한 전략적 간호 리더십 70
9. 최고의료정보책임자 관점: 임상적, 기술적 통찰력과 리더십 80
10. 보건의료정보 관리자 관점: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전략적 통찰 90
11. 교육자 관점: 보건의료정보학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전 세계적 요구 100
Part 3 지식 생성을 위한 데이터와 정보의 사용
12. 학습형 보건의료시스템: 데이터 주도 보건의료를 위한 개념, 원칙, 실무 110
13. 전자건강기록 데이터: 임상 감시 및 경보 활성화 128
14. 전문직 간 구조화된 데이터: 환자기록의 일차 및 이차 활용 지원 140
15. 의료 데이터의 재사용: 한 번 수집하여 여러 번 사용 154
16. 건강 및 지역사회 데이터 활용: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통찰 168
17. 시민 생성 데이터: 보건의료정보기술 연구와 실무의 새로운 차원 182
18. 소셜 미디어 데이터: 건강지능을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200
19.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및 데이터 시각화 222
Part 4 상호운용가능 시스템
20. 상호운용성: 보건의료정보기술 표준화 236
21. 임상의사결정 지원 252
22. 원격의료: 환자와 보건의료제공자에게 다가가기 266
23. 공중보건: 인구건강을 지원하는 상호운용성 애플리케이션 280
Part 5 안전시스템과 환자안전
24. 환자안전: 보건의료정보기술의 응용, 방법 및 디바이스의 기회와 위험 294
25. 환자안전: 위험관리 308
26. 사이버 보안: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및 가용성 보장 322
27.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의 품질 및 안전 338
Part 6 보건의료에서의 개인정보보호, 보안, 기밀성과 윤리
28.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의료정보보호법, 의료정보기술법 및 기타 350
29.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유럽 일반개인정보보호규정 358
30. 실무 및 법적 문제: 임상 문서화, 데이터 소유권, 접근 및 환자 권리 370
31. 윤리적 문제: 환자, 보건의료제공자 및 시스템 380
Part 7 기술 및 인력 관리
32. 관리 원칙: 성공적인 보건의료정보기술 구현 396
33. 전략적 정보관리 418
34. 전문직 간 리더십: 혁신 전략 426
35. 보건의료 혁신: 정보통신기술 혁신 440
36. 프로젝트 관리: 커뮤니케이션 및 보건의료정보기술 구현 지원 454
37. 프로세스 관리: 디지털 업무흐름 설계 464
Part 8 21세기를 위한 보건의료정보학 교육
38. TIGER 이니셔티브: 글로벌 및 전문직 간 보건의료정보학 인력 개발 472
39. 미래를 위한 보건의료정보학 인력 양성 490
40. 보건의료정보학 교육: 표준, 과제 및 도구 510
41. 전문직 간 실무 및 교육: 핵심 데이터세트 및 정보교환 인프라 526
42. 디지털 전문성: 디지털 학습 및 교육을 위한 기술 538
Part 9 보건의료정보학의 미래 동향
43. 새로운 기술: 데이터와 미래 수술 558
44. 새로운 기술: 미래의 모습 570
찾아보기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