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머리말 5
옮긴이의 말 8
제1장 세계의 인지 1 - ‘-로서’의 구조 15
1. 진드기의 세계 1 5
2. 세계는 〈의미〉로 감지된다 1 7
3. 말은 세계를 분절한다 18
4. 무엇을 명명할 것인가? 2 1
5. 세계에 분계선이 있는가? 2 2
6. 인지와 언어 24
제2장 세계의 인지 2 - ‘-다움’의 구조 2 7
1. 고전적 범주관 2 7
2. 고전적 범주관의 문제점 2 8
3. 원형 3 1
4. 기본층위 범주 3 5
5. 원형, 기본층위의 유래 3 7
제3장 의미란 무엇인가? 41
1. ‘의미’의 의미 41
2.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 46
3. 사전과 백과사전 48
제4장 비유 1 - 은유 55
1. 〈아직 모르는 것〉을 〈이미 아는 것〉을 통해서 이해하기 5 6
2. 은유 5 7
3. 개념적 은유 58
4. 부분적 이해로서의 은유 6 2
5. 은유의 경험적 기반 6 4
제5장 비유 2 - 환유ㆍ제유 6 9
1. 환유의 일상성과 편재성 70
2. 환유의 인지적 기반 7 2
3. 제유 7 5
4. 제유의 인지적 기반 7 9
제6장 의미 변화 8 3
1. 의미의 변화 84
2. 옥스퍼드 영어 사전 8 5
3. 의미 변화의 기제 Ⅰ - 제유 8 6
4. 의미 변화의 기제 Ⅱ - 은유 8 8
5. 의미 변화의 기제 Ⅲ - 환유 8 8
6. 의미 변화의 기제 Ⅳ - 기타 9 0
7. 복합적인 의미 변화 9 1
제7장 다의어 9 5
1. 다의어의 판정 기준 9 5
12
2.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중간적 사례 97
3. 다의어의 의미 기술 99
제8장 단어에서 문장으로 1 0 7
1. 모어 화자다움이란 무엇인가? 1 0 7
2. 관용 표현의 유형 1 0 9
3. ‘기호’로서의 관용 표현 1 1 6
제9장 문법이란 무엇인가? 1 2 1
1. 문법의 인식 121
2. ‘기호’로서의 문형(구문) 1 2 4
3. 문법의 존재 의의 1 2 8
제10장 문법표지ㆍ품사ㆍ문법관계 1 3 3
1. 문법표지 1 3 3
2. 품사 136
3. 문법관계 - 주어 1 4 3
제11장 타동성 1 4 9
1. 타동사 구문과 자동사 구문 149
2. 타동성 1 5 0
3. 원형 범주로서의 타동성 1 5 2
4. 타동성과 수동태 1 5 4
5. 문장 전체의 성질로서의 타동성 1 5 6
6. 타동성과 사태 파악 1 5 8
13
제12장 문법화 1 6 3
1. 문법화는 무엇인가? 1 6 4
2. 문법화의 사례: be going to 1 6 5
3. 문법화의 특징 1 69
제13장 작은 기호, 큰 기호 1 7 5
1. ‘기호’로서의 시늉말 175
2. ‘기호’로서의 음성상징 1 7 8
3. 음성상징의 보편성의 가능성 1 8 0
4. 영어 시에 나타나는 음성상징 1 8 2
5. 문장을 넘어선 ‘기호’ 1 8 4
제14장 일본어ㆍ영어 대조 연구 187
1. 일본어와 영어에서 선호되는 표현 방식 188
2. ‘되다’적인 언어, ‘하다’적인 언어 1 9 9
3. 일본어와 영어에서 선호되는 사태 파악 2 0 2
제15장 마무리 2 0 9
1. 인지기제로서의 언어 209
2. 인지능력의 반영으로서의 언어 2 1 2
주석 214
참고 문헌 218
색인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