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대 전통문헌 『미쉬나』 번역ㆍ주해서를 펴내며|최창모
일러두기
히브리어 한글음역 원칙
유대 공동체의 정의를 실현하는 초석|최영철
1 바바 캄마(첫째 문)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2 바바 메찌아(중간 문)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3 바바 바트라(마지막 문)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4 산헤드린(공의회)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5 마콧(태형)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6 쉬부옷(맹세)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7 에두욧(증언)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8 아봇(선조들)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9 아보다 자라(이방 제의)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10 호라욧(판결)
개요 제1장 제2장 제3장
옮긴이의 말|이 일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