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Ⅰ. 서론
Ⅱ. 트레이닝 원리와 축구 트레이닝 방법
1. 트레이닝의 의미와 원리
1) 트레이닝이란?
2) 트레이닝의 원리
2. 축구 트레이닝 방법
1) 분석적 방법
2) 통합적 방법
3) 전술적 주기화 방법
Ⅲ. 주기화 트레이닝의 발달 과정
1. 일반적 적응 이론과 전통적 주기화 모델
1) 마트베예프의 주기화 모델
2) 아로세이예프의 펜듈럼 모델
2. 현대적 주기화 모델
1) 트레이닝 블록형 모델 : 적은 운동량 & 강도 높은 전문 트레이닝
2) ATR 모델 : 축적, 이행, 실현
3) 봄파의 확장형 수행 능력 모델 : 최고 수행력 달성을 위한 점진적 트레이닝
4) 세이룰로의 인지 모델 : 인지적 이해의 중요성
5) 베르하이옌의 6주 주기화 모델
6) 청소년팀의 6주 주기화 트레이닝 모델
Ⅳ. 전술적 주기화 트레이닝
1. 경기의 4단계
2. 경기 모델의 개발과 중요성
1) 경기 모델의 발전적 단계
2) 포메이션 선택
3) 플레이 원칙과 구조의 상호 작용
4) 경기 모델과 플레이 원칙
5) 경기 모델과 선수의 역할
3. 전술적 주기화의 방법론적 원리
1) 특이성의 원리
2) 플레이 원칙 운용의 원리
3) 플레이 원칙의 체계적 위계 원리
4) 특이성 원리의 수평적 변화 원리
5) 운동수행능력 안정화의 원리
6) 조건부 연습의 원리
7) 단계적 진행의 원리
8) 전술적 피로 및 집중의 원리
4. 경기 4단계의 전술적 운용
1) 공격 단계(팀 철학 : 경기를 주도한다)
2) 공격에서 수비 전환 단계
3) 수비 단계
4) 수비에서 공격 전환 단계
5) 표준 주간 트레이닝 계획
6) 전술적 주기화의 학습 방법
5. 코칭과 경기 모델 트레이닝
1) 코칭에서 언어의 역할
2) 지도자의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
3) 창의적 경기 모델과 트레이닝 프로그램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