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물다양성(Biodiversity) + :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14
UN 지속가능발전목표 (UN SDGs) 17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GBF) 21
제7차 IUCN 자연보전총회(WCC)와 마르세유선언문(The Marseille Manifesto) 37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41
생물권보전지역(BR)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42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의 역할 44
새로운 보전 패러다임 (New Conservation Paradigm) 46
생물다양성(Biodiversity) + : 평화(Peace) 54
생물다양성 보전과 평화 57
국제적 권고사항 : 환경 보호와 평화 59
국제적 권고사항 : 접경지역 협력과 보호지역 66
접경보호지역 개념 73
접경보호지역 사례 76
보전협력을 통한 평화정착 시사점 82
생물다양성(Biodiversity) + :
보호지역(Protected Areas) + 자연공존지역(OECM) 90
보호지역(Protected Areas)의 이해 93
보호지역의 정의(Definition) 93
보호지역의 지정 목적 및 특성 94
보호지역의 가치 95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96
보호지역의 유형/카테고리 (IUCN 보호지역 관리 Category) 97
보호지역 관리 개념 변화 : 야생생물 관리 접근 변화(레오폴드 보고서) 99
국제적인 보호지역 :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유산, 람사르습지 101
IUCN 녹색목록(Green List) 프로그램 112
생물다양성협약(CBD)와 보호지역 119
보호지역 관련 협약 결정문(Decision) 121
보호지역 관련 글로벌 보전목표 성취 정도 132
새로운 글로벌 보전목표 (30by30 target) 137
새로운 글로벌 보전목표(30by30)에 따른 우리나라 법정 중장기계획 내용 139
자연공존지역 (OECM) 145
자연공존지역(OECM) 글로벌 표준 148
생물다양성(Biodiversity) + : 한반도 생태공동체(남북 협력) 158
북한의 자연환경 160
북한의 자연환경 관련 법제도 168
북한의 보호지역 184
자연환경 분야 대북협력 여건 및 동향 193
자연환경분야 남북 협력사업(안) 226
남북 생태협력 발전방향(안) 240
부록
새로운 글로벌보전목표(K-M GBF) 성취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