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4
머리글 · 9
제1장 Geoscience(지구과학)와 젊은 바다 동해
Ⅰ. 지리학(Geography)은 어떤 학문일까? 17
1. 역사적으로 지리를 실제 생활에 활용했던 사례 18
2. 지리로 본 지구 온난화 20
Ⅱ. 새로 탄생한 젊은 바다 동해 22
1. 움직이는 지각이 동해와 대양을 만들다. 23
2. 동해는 사라질 수도 있다? 26
3. 서해와 남해는 육지가 침수돼 만들어진 바다 26
제2장 젊은 땅 포항 시내의 지오트레일
Ⅰ. 젊은 땅 포항 31
1. 신생대의 포항 분지와 장기분지 32
2. 포항이 젊은 땅이라는 증거 34
3. 지형변화가 심했던 형산강 삼각주와 배머리못 43
4. 조선시대 읍성 이동이 잦았던 연일 읍성의 흔적을 찾아서 49
5. 형산강 범람원에 자리한 생지리 읍성 55
6. 달전리 주상절리 65
제3장 입암리-선바위-흥환리-구룡소 지오트레일
1. 천연 콘크리트인 역암이 분포하는 입암리 69
2. 미인 바위와 주상절리 77
3. 용이 살다 승천한 전설이 서린 구룡소(九龍沼) 79
4. 대동배리의 얼굴바위 84
제4장 6각 돌기둥과 호미곶 해안구, 구룡포 지오트레일
1. 향토 문화재 독수리 바위 89
2. 전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해안단구 91
3. 넓은 파식대와 상생의 손, 해녀 98
4. 관풍대와 구룡포의 주상절리 102
5. 대한민국의 동쪽 땅끝 석병리 117
6. 구룡포 일본인 가옥 거리와 구룡포 공원 장소성의 변화 120
제5장 나무화석과 고석사 두꺼비 바위 지오트레일
1. 광정산 뇌록산지 133
2. 뇌성산 주상절리와 뇌록 134
3. 장기면 모포리 해안의 나무화석 136
4. 창지리 주상절리 146
5. 장기 제올라이트 광산의 나무화석 150
6. 고석사 응회암과 두꺼비 바위 155
제6장 오도리 주상절리와 규화목, 이가리 지오트레일
1. 천연기념물 오도리 주상절리 181
2. 규화목이 자리한 오도리 북쪽 해안 190
3. 다양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이가리의 해안지형 195
제7장 곡강천 하구와 용한리의 모래해안및 해안단구 지오트레일
1. 칠포 2리 해수욕장(해수면 변동의 증거) 207
2. 곡강천 하구의 다양한 해안 퇴적지형과 칠포해수욕장의 사구 210
3. 조선시대 석호(潟湖)였던 배다리들 215
4. 용한리 해안단구와 고(古)사구층 220
제8장 방석리 화산우박(부가 화산력) 지오트레일
1. 방석리 화산우박 231
2. 방석리의 파식대(짬)와 해녀 258
3. 화진해수욕장과 사구 262
4. 지경리 해안의 침식지형, 염풍화지형(타포니)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