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크리스티안 폰 셰브, 미코 살멜라
Ⅰ 개념적 관점
1. 그룹에 속한 느낌: 기업정서와 집단의식/ 한스 베른하르트 슈미트
2. 우리는 어떻게 느끼는가: 일상적 집단정서 귀속/ 마거릿 길버트
3. 정서와 확장된 마음/ 얀 슬라비
4. 존중의 정서적 공동체/ 베넷 헴
Ⅱ 대면 상호작용에서 집단정서
1. 집단정서에 대한 공감의 사회신경과학적 통찰/ 클라우스 람, 조지아 실라니
2.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주의 우선순위결정의 신경인지 메커니즘/ 토비아스 브로쉬
3. 우리는 우리가 보는 것을 모방하는가, 아니면 우리가 아는 것을 모방하는가?
/ 우르줄라 헤스, 스테파니 하우드, 아그네타 피셔
4. 집단정서의 전조로서의 정서 전염/ 일레인 해트필드, 메건 카펜터, 리처드 랩슨
Ⅲ 집단정서의 사회관계적 차원
1. 관계적 정서와 소셜 네트워크/ 일모 반 데르 뢰베, 브라이언 파킨슨
2. 집단정서의 원인으로서의 사회적 평가/ 마틴 브루더, 아그네타 피셔, 안토니 맨스테드
3. 정서와 사회적 틈새/ 조엘 크루거
Ⅳ 집단정서의 사회적 결과
1. 그룹에서 공유된 정서의 기능/ 재니스 켈리, 니콜 이아노네, 메건 매카시
2. 사회적 교환에서 집단정서의 출현/ 에드워드 롤러, 셰인 티에, 윤정구
3. 집단정서적 모임: 정체성 융합, 공유된 믿음,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 다리오 파에즈, 베르나르 리메
4. 정서와 사회적 정체성의 형성/ 조셉 드 리베라
Ⅴ 그룹 기반 정서와 그룹 간 정서
1. 그룹 간 정서: 자기 범주화, 정서, 그리고 그룹 간 갈등의 규제
/ 데빈 레이, 다이앤 맥키, 엘리엇 스미스
2. 집단 죄책감의 사회심리학/ 마크 퍼거슨, 닐라 브랜스콤
3. 집단 자부심, 행복, 축하 정서: 집계, 네트워크, 문화 모형/ 개빈 브랜트 설리번
4. 집단정서와 고질적 갈등에서 정서 조절/ 에란 할페린
Ⅵ 의식, 운동, 사회 조직
1. 상호작용 의식 연쇄와 집단열광/ 랜들 콜린스
2. 종교, 의식, 집단정서/ 데이비드 노트너러스
3. 정치적 정서/ 존 프로테비
4. 정서, 사회학, 시위/ 제임스 재스퍼
5. 정서적 지식, 정서적 스타일, 종교/ 후베르트 크노브라우흐, 레기너 헤르비르크
Ⅶ 온라인 사회시스템에서 집단정서
1. 소셜 웹에서 감정의 역할/ 마이크 털월, 아비드 카파스
2. 온라인 사회시스템에서 집단정서의 모형화
/데이비드 가르시아, 안토니오스 가라즈, 프랭크 슈바이처
3. 전자공동체의 집단정서와의 상호작용/ 마르친 스코브론, 스테판 랑크
4. 젠더와 대규모 사회적 인식 스트림에서 정서의 사회적 공유
/ 푼다 키브란-스웨니, 모르 나먼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그림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