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장 살아 있는 뇌
1 카페인은 뇌를 흥분시킨다
2 마음을 만드는 세 가지 요소
3 마음은 뇌의 활동으로 발생한다
4 뇌는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5 신경세포의 연결 방법
6 뇌를 돌아다니는 전달물질
7 왜 소금이 필요할까
8 마음을 만드는 전달물질
9 마음의 병은 전달물질의 불균형에 의해 발병한다
10 마음이나 몸을 만드는 물질
11 물질의 명칭
12 혈액–뇌 관문은 뇌의 관문
13 내성이 생기다
14 내성이 발생하는 구조
15 약물 의존
2장 뇌 물질의 불균형이 일으키는 병
1 전달물질은 어떤 모양일까
2 흥분성 신호가 발생하는 구조
3 억제성 신호가 발생하는 구조
4 전달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체의 구조
5 뇌 물질과 마음의 병
6 현대인을 위협하는 우울증
7 우울증의 원인은 유전자와 뇌 물질
8 고혈압과 결핵 환자의 기분이 바뀌었다!
9 우울증의 ‘카테콜아민 가설’
10 전달물질의 양은 엄격히 조절된다
11 세로토닌이 부족해도 우울증에 걸린다
12 삼환계 항우울제의 작용
13 SSRI는 뛰어날 것 같지만
14 세로토닌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강박신경증
15 상태 사이클의 과잉 흥분
16 강박신경증을 치료하다
17 뇌의 비정상적인 흥분으로 일어나는 조증과 불안
18 조증 치료제, 탄산리튬 발견의 비밀
19 조증 치료의 기본이 된 탄산리튬
20 건강 붐과 탄산리튬
21 원인이 없는데 불안이 심해지는 불안장애
22 항불안제의 역사
23 벤조디아제핀계의 특징
24 도파민이 부족하면 파킨슨병이 생긴다
25 파킨슨병을 치료하다
26 도파민의 과잉으로 조현병이 발생하다
27 조현병을 치료하다
28 클로르프로마진과 할로페리돌의 문제점
29 아세틸콜린이 부족하면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한다
30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31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의 작용을 방해하는 타크린
32 타크린의 부작용
33 신경세포의 흥분사를 방지하는 메만틴
3장 마음을 바꾸는 우리 주변 물질
[카페인]
1 카페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합법적인 약
2 하루에 400밀리그램의 카페인
3 카페인은 뇌를 흥분시킨다
4 대량 카페인의 영향
5 아데노신은 흥분성 전달물질의 브레이크로 작용한다
6 카페인은 아데노신의 수용체를 빼앗는다
[프로스타글란딘]
7 뇌에서 느끼는 통증
8 왜 두통이 생기는 걸까
9 프로스타글란딘은 경계경보 확성기
10 굉장히 유명한 약, 아스피린
11 버드나무 껍질의 비밀
12 아스피린의 탄생
13 만능 약 아스피린
14 아스피린의 부작용
15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산을 억제하다
[비처방약에 함유된 물질]
16 감기약
17 페닐프로판올아민
18 식욕을 억제하는 다이어트약
19 베스트셀러가 된 다이어트약
20 덱스트로메토르판
[멜라토닌]
21 어둠의 호르몬
22 멜라토닌 vs 세로토닌
23 멜라토닌은 트립토판으로 만들어진다
24 잠을 잘 오게 하고 낮잠의 질을 높인다
25 기분을 좋게 하는 멜라토닌
4장 음식으로도 마음은 바뀐다
[아미노산]
1 우리의 마음을 만드는 아미노산
2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지는 아민과 펩티드
3 필수아미노산을 적극적으로 섭취하다
[당류]
4 뇌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관이다
5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주요 당류
6 뇌를 활성화하다
7 아침밥을 먹으면 뇌 활동이 향상된다
8 혈당 수치가 내려가면 초조하고 집중이 안 된다
9 당뇨병 환자는 머리가 좋을까
[미네랄의 효능]
10 이성을 잃는 것은 음식 때문일까
11 아연이 부족하면 광폭해진다
12 청년들의 현저해진 아연 부족
13 항스트레스 물질로 스트레스를 견디다
14 아연과 동이 폭력과 관계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15 당분의 대량 섭취와 폭력의 관계
[캡사이신]
16 고추 매운맛의 기본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