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 심리학을 알면 살기 편해진다!
| 1부 | 심리학, 네가 궁금해
1 당신에게 심리학이 필요한 5가지 이유
2 심리학이 뭐지?: 심리학의 정의
3 아빠는 철학, 엄마는 생물학: 심리학의 탄생
4 비타민은 우울증에 효과가 있을까?: 심리학의 연구방법
| 2부 | 심리학으로 똑똑해지기
1 마음은 어디에 들어 있나?
몸과 마음은 하나인가? 별개인가?: 심신일원론 대 심신이원론
뇌 속의 알람시계: 망상체
감정의 근원: 편도체
자꾸자꾸 자극시키고 싶어요: 쾌중추
머릿속 두 개의 마음: 분할뇌
2 마음은 어떻게 자랄까?
아이들이 세상을 배우는 두 바퀴: 동화와 조절
까꿍놀이가 재미있는 이유: 대상영속성
어느 주스가 더 많지?: 보존 개념
엄마에게 매달리는 이유: 애착과 각인
사춘기, 도대체 왜 그러는 걸까?: 상상 속 청중과 개인적 우화
어른들의 세상?: 중년의 위기와 빈 둥지 증후군
노년기의 축복: 말년의 긍정성
3 우리는 어떻게 경험할까?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상향처리와 하향처리
내 이름을 불러 줘: 칵테일파티 효과
면세점의 마법: 베버의 법칙
전체는 부분의 합을 넘어선다: 게슈탈트의 원리
무엇이 보이나요?: 지각 갖춤새
쓰기 편해야 잘 팔린다: 인간요인
4 우리는 어떻게 기억할까?
기억의 처리방법: 컴퓨터 모형
오래 남는 첫사랑? 끝사랑?: 계열위치 효과
기억의 충돌: 간섭효과
그때가 좋았지: 장밋빛 회고
내 기억을 나도 못 믿겠어: 오정보와 상상력 효과
야, 너두 이제 공부 잘할 수 있어: 7가지 기억력 증진법
5 우리는 어떻게 생각할까?
펭귄은 새인가? 개인가?: 개념과 원형
토마토케첩을 찾아라: 알고리즘과 발견법
무조건 내가 옳아: 확증편향
천재인가? 바보인가?: 서번트 증후군
이제는 EQ가 대세야: 정서지능
6 우리는 어떻게 느낄까?
배부른 돼지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정말 나을까?: 욕구위계 이론
SNS 홍수의 시대: 친애욕구
좋아서 웃는 걸까? 웃어서 좋은 걸까?: 감정이론
다양한 감정을 나누는 2가지 기준: 유인가 대 각성
감정을 터뜨리는 것이 좋을까?: 카타르시스 가설
용돈은 엄마가 기분 좋을 때 말해야지: 좋은 기분-좋은 행동 현상
나는 행복한가?: 주관적 웰빙
7 우리는 어떻게 배울까?
연결 짓기: 파블로프의 개 실험
두려움도 학습된 것이라고?: 꼬마 앨버트 실험
당근과 채찍: 강화와 처벌의 원리
백문이 불여일견: 모델링
| 3부 | 심리학 잘 써먹기
1 성격이 뭐지? 스트레스는 왜 겪을까?
내 속에 있는 3가지의 나: 프로이트의 성격구조
시간이 지나도 잘 변하지 않는 성향: 외향성과 내향성
스트레스가 스트레스야: 스트레스와 여키스-도슨 법칙
스트레스를 잡는 2가지 방법: 문제중심적 대처 대 정서중심적 대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성격, 적게 받는 성격: A유형 성격과 낙관성
2 사람들은 관계 속에서 어떻게 행동할까?
잘되면 내 탓, 못되면 조상 탓: 귀인 이론
생각과 행동의 틈 메우기: 인지부조화 이론
튀기 위해선 용기가 필요해: 동조
당신도 악인이 될 수 있다: 밀그램의 복종 실험
다른 사람이 돕겠지: 방관자 효과
사람들과 친해지는 법: 매력의 다섯 손가락
사랑이 뭐길래?: 사랑의 삼각형 이론
3 왜 인간은 심리적 고통을 겪을까? 어떻게 극복할 수 있나?
정상과 비정상의 기준은 무엇일까?: 심리장애의 기준
늘 불안하고 긴장돼요: 불안장애
기분이 좋지 않아요: 우울장애와 양극성장애
원치 않는 생각과 행동을 멈출 수 없어요: 강박장애
트라우마로 인해 힘들어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기이한 망상과 환각: 조현병
성격이 이상해요: 성격장애
아픈 마음을 치료하는 기술: 심리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