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자가 진단: 나는 예민한 사람일까?
1장 예민함은 병이 아니다
혹시 내가 병적인 건 아닐까?
예민하게 태어난다는 것
적응해야 하는 현실과 언제나 이방인이라는 느낌 사이에서
내향적인, 혹은 외향적인
예민함이 재능이 될 수 있도록
2장 예민함과 모성애
감정 없는 지난 20년의 삶
예민한 여성에서 예민한 엄마로
예민한 모성애가 빠지는 함정
3장 예민함에 대하여
예민함에 대한 연구, 어디까지 왔을까?
나는 정말 예민한 사람일까?
예민한 엄마의 또 다른 특성
스트레스와 예민함의 관계
예민한 사람들이 자극에 더 민감한 이유
예민함은 자산이다
일반적인 감각과 예민함의 차이
4장 스트레스에 현명하게 대처하기
신중함은 저주일까 축복일까
모든 방법을 시도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불편한 나
나의 감정은 나의 당연한 권리
긍정으로 부정을 밀어내려는 노력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
변화를 위한 잠깐의 생각 바꾸기
스트레스를 찾아내고 그것에 직면하라
당신이 바라는 아이의 삶이 지금 당신의 삶이 되도록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라
5장 나만의 경계 설정하기
예민한 사람이 경계선에 섰을 때
나만의 경계와 공감의 균형을 맞추는 것
나만의 피난처 만들기
과흥분을 긍정적인 에너지로 바꾸는 법
가장 이상적인 각성 단계를 찾아서
참을 수 없는 지루함에 짓눌릴 때?
어떤 상황에서도 이상적인 각성 상태를 유지하는 법
과중한 부담감 없이 사는 삶
6장 예민함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법
아주 섬세한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
누구보다도 뛰어난 직감을 가진 사람들
예민함이라는 무궁무진한 잠재력
이제 우리 내면의 운전자를 바꿔야 할 때
불안과 불안장애는 같은 말이 아니다
예리하게 파고드는 두려움과 동행하기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7장 당신은 당신 그대로 옳다
예민한 엄마가 느끼는 이질감
왜 나는 남들과 다를까?
사회적 고립감으로부터 오는 고통
나와 같은 예민함을 찾아서
8장 예민한 모성은 훌륭한 예술과 같다
한 부모 가정에서 벌어지는 예민한 상황
슈퍼우먼이 되겠다는 무모한 생각
아이를 키우는 데 육아 이론이 필요할까?
예민한 부모, 그리고 예민한 아이
감정이라는 세계의 복잡함
스스로에게 ‘그만’이라고 말하는 것
9장 모든 것에 지친 예민한 엄마들을 위해
도저히 피로를 극복할 수 없을 때
죄책감과 수치심이 만드는 짙은 피로감
자신에게 필요한 친구되기
내면의 비평가, 모든 일을 망치다
높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느낌
10장 그리고 지금, 당신 자신이 되어라
너그럽게 자신을 바라보는 법 배우기
좋은 것으로 둘러싸여 기쁨에 빠져보기
당신에게 필요하지 않은 것은 여기에 두고 갈 것
마치며
감사의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