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식물학 잡학사전 다나카 오사무
☆☆☆☆☆ 평점(0/5)
사람과나무사이 | 2024-06-15 출간
판매가
18,000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제1장_ 뼈가 없는 식물이 위로 곧게 자라는 이유

Section 1. 새싹의 모습에서 배운다
1-1 소나무는 쌍떡잎식물일까, 외떡잎식물일까?
1-2 모든 세포는 세포에서 생겨난다고?
1-3 식물은 뼈가 없는데, 어떻게 위로 곧게 자랄까?
1-4 식물의 잎은 왜 녹색으로 보일까?
1-5 식물 잎이 어둠 속에서 녹색으로 보이지 않는 이유
1-6 새싹이 위아래를 구분하는 능력이 있다고?
1-7 무엇이 뿌리를 ‘아래’로 자라게 할까?
1-8 식물이 흙을 떠밀고 나올 수 있게 하는 물질, ‘에틸렌’
1-9 식물을 쓰다듬어주면 튼튼하게 자란다고?

Section 2. 성장에 잠재된 성질
1-10 물과 양분을 식물 구석구석 보내는 통로, ‘물관’과 ‘체관’
1-11 물을 뿌리에서 잎끝까지 전달하는 세 가지 힘은?
1-12 식물 줄기의 웃자람을 방지하는 물질, 피토크롬
1-13 식물 줄기는 왜 빛이 비추는 방향으로 자랄까?
1-14 식물이 동물에게 뜯어먹혀도 끄떡없게 하는 힘, 정아우세
칼럼 01 ▶▶▶ 씨앗이 먼저일까, 식물이 먼저일까?

제2장_ 광합성은 잎 속 어디에서 이루어질까?

Section 1. 광합성을 알아보자
2-1 음식을 먹지 않는 식물이 성장하는 비결은?
2-2 광합성 속도 조절기, ‘광·광합성곡선’
2-3 ‘빛 강도’와 책상조직 ·해면조직의 관계는?
2-4 식물은 0.04퍼센트 이산화탄소를 귀신같이 빨아들인다고?
2-5 이산화탄소 농도는 왜 여름에 줄고 겨울에 늘까?
2-6 광합성은 잎 속 어디에서 이루어질까?
2-7 색소 클로로필은 어떻게 빛을 흡수할까?
2-8 녹색광은 왜 잎 내부에서 이리저리 돌아다닐까?

Section 2. 광합성으로 식물을 분류한다
2-9 빛이 충분해도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면 광합성이 안 된다?
2-10 옥수수는 이산화탄소 부족을 고민하지 않는다고?
2-11 밤에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낮에 활용해 광합성 하는 식물, ‘CAM 식물’
2-12 CAM 식물의 요수량이 현저히 낮은 까닭은?
칼럼 02 ▶▶▶ 브로콜리가 지닌 발암물질 독성 제거력과 체외 배출 효능의 숨은 열쇠, ‘설포라판’

제3장_ 꽃봉오리는 어떤 원리로 열리고 닫힐까?

Section 1. 꽃봉오리의 형성
3-1 왜 대다수 식물은 가을에 씨앗을 만들까?
3-2 식물 잎이 낮과 밤의 길이 변화로 온도 변화를 예측한다?
3-3 일조 시간을 조절하여 개화 시기를 제어하는 ‘전조 재배’
3-4 5월에 싹 틔운 줄기도 8월에 싹 틔운 줄기도 9월에 꽃피는 이유
3-5 나팔꽃 개화에 ‘낮 길이’보다 ‘밤 길이’가 더 중요한 까닭은?
3-6 식물의 어디를 차단하면 꽃봉오리가 만들어질까?
3-7 꽃봉오리를 만드는 물질, 플로리겐의 정체는?
3-8 장일식물 유전자는 왜 단일식물 유전자와 유사할까?
3-9 가을 파종 품종이 봄 파종 품종보다 품질이 뛰어난 이유
3-10 ‘꽃대가 선다’라는 말의 의미는?
3-11 식물의 꽃을 피우게 하는 세 가지 물질은?
3-12 꽃을 형성하는 구조 ‘ABC 모델’이란?
3-13 A, B, C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Section 2. 개화
3-14 꽃봉오리는 어떤 원리로 열리고 닫힐까?
3-15 꽃봉오리가 정해진 시각에 일제히 꽃피우는 비밀
3-16 꽃은 어떤 물질로 자기 몸을 치장할까?
3-17 식물을 해치는 활성산소를 없애는 두 가지 물질은?
3-18 백색 꽃잎에 들어 있는 두 가지 색소, ‘플라본’과 ‘플라보놀’
칼럼 03 ▶▶▶ 곰팡이가 만들어 벼 모의 키를 비정상적으로 자라게 하는 물질, ‘지베렐린’

제4장_ 바나나는 어쩌다 ‘씨 없는 과일’이 되었나?

Section 1. 수분에서 수정까지
4-1 감자 번식법이 자칫 그 생물 종의 전멸로 이어질 수 있다고?
4-2 식물이 자기 꽃가루를 자기 암술에 붙여 번식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
4-3 꽃가루가 암술 끝에 붙는 것만으로 씨앗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4-4 꽃가루관이 자라는 방향을 결정하는 물질, ‘조세포’
4-5 꽃가루가 암술 끝에 달라붙은 후 수정란이 만들어질 때까지 얼마나 걸릴까?
4-6 ‘유배유종자’와 ‘무배유종자’의 결정적 차이는?
4-7 자기 꽃가루를 자기 암술에 붙여 종자를 만들지 않으려는 성질, ‘자가불화합성’
4-8 왜 옆 나무의 꽃가루로 씨앗을 만들 수 없을까?

Section 2. 과실과 씨앗의 형성
4-9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는 물질, 에틸렌의 정체는?
4-10 바나나는 어쩌다 ‘씨 없는 과일’이 되었나?
4-11 씨앗이 만들어지지 않았는데도 과실이 크게 자라는 성질, ‘단위결과’
4-12 씨 없는 수박과 씨 없는 포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4-13 성직자이면서 유전학자인 멘델이 8년간의 완두콩 연구로 알아낸 것은?
4-14 둥근 콩과 주름진 콩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질까?
4-15 빨간 꽃을 피운 꽃나무에서 만들어진 씨앗을 키웠더니 하얀 꽃을 피웠다고?
칼럼 04 ▶▶▶ 시금치를 신선하게 유지하는 가장 좋은 보관법은?

제5장_ 나팔꽃 씨앗이 단단한 껍질을 갖게 된 까닭은?

Section 1. 씨앗과 새싹의 휴면과 발아
5-1 발아의 3가지 조건은?
5-2 씨앗이 발아하지 않는 독특한 상태, ‘휴면’이란?
5-3 빛이 닿으면 발아를 억제하는 씨앗이 있다고?
5-4 양상추 씨앗에 원적색광을 비추면 발아가 억제되는 이유
5-5 씨앗은 ‘피토크롬’ 덕분에 빛 색을 구분한다?
5-6 잡초 씨앗에 닿는 빛을 차단하면 잡초를 퇴치할 수 있다?
5-7 씨앗은 왜 꼭 ‘겨울 추위’를 느껴야 발아할까?
5-8 식물은 온도 변화가 없으면 발아하지 않는다?
5-9 나팔꽃 씨앗은 왜 단단한 껍질을 갖게 되었나?
5-10 종피를 벗기고 알맹이만 남은 ‘나출종자’의 장단점
5-11 아밀라아제 없이 씨앗은 발아할 수 없다고?
5-12 발아하기 어려운 씨앗도 ‘지베렐린’을 주면 발아시킬 수 있다?
5-13 씨앗 발아에 관여하는 또 다른 물질, ‘아브시스산’의 정체는?

Section 2. 불편한 환경과의 싸움
5-14 ‘땅속줄기’를 무기로 무한 생존력을 자랑하는 식물, 쇠뜨기
5-15 ‘로제트’ 형태로 겨울을 지낸 식물이 봄 발아 식물보다 빨리 성장하는 이유
5-16 양미역취는 어떻게 다른 식물의 발아나 성장을 억제할까?
5-17 식물이 곰팡이ㆍ병원균을 퇴치하는 데 사용하는 물질, 피톤치드
5-18 편백나무가 세균과 벌레에 강한 것은 독특한 ‘향기’ 덕분이다?
5-19 식물이 병원체와 싸우기 위해 만든 무기, 파이토알렉신
5-20 비늘줄기에 지닌 독성물질 ‘리코린’으로 자신을 지키는 수선화
5-21 식중독 원인의 독성 물질 ‘콜히친’이 통풍 특효약이라는데?

Section 3. 잎의 노화와 낙엽
5-22 은행잎이 샛노란 이유는 ‘카로티노이드’ 색소 때문이다?
5-23 ‘안토시아닌’이 없으면 붉은 단풍잎도 볼 수 없다?
5-24 잎이 스스로 떨어지는 게 사실일까?
5-25 식물은 왜 가지로부터 떨어지는 부분, ‘이층’을 만들까?
5-26 왜 상록수의 잎은 1년 내내 녹색일까?
5-27 ‘응고점강하’를 무기로 겨울에도 신선한 잎을 유지하는 상록수
5-28 채소와 과일은 왜 추위를 겪으면 더욱 달콤해질까?

Section 4. 살아가는 방법은 다양하다
5-29 식충식물이 점액을 내뿜는 이유는?
5-30 벌레를 잡아먹는 파리지옥도 광합성 하는 식물이다?
5-31 기생식물과 착생식물의 근본적 차이는?
5-32 라플레시아가 지독한 악취를 풍기는 이유는?
5-33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 등으로 생존하는 식물, 부생식물

참고문헌 216
저자 서문

제1장_ 뼈가 없는 식물이 위로 곧게 자라는 이유

Section 1. 새싹의 모습에서 배운다
1-1 소나무는 쌍떡잎식물일까, 외떡잎식물일까?
1-2 모든 세포는 세포에서 생겨난다고?
1-3 식물은 뼈가 없는데, 어떻게 위로 곧게 자랄까?
1-4 식물의 잎은 왜 녹색으로 보일까?
1-5 식물 잎이 어둠 속에서 녹색으로 보이지 않는 이유
1-6 새싹이 위아래를 구분하는 능력이 있다고?
1-7 무엇이 뿌리를 ‘아래’로 자라게 할까?
1-8 식물이 흙을 떠밀고 나올 수 있게 하는 물질, ‘에틸렌’
1-9 식물을 쓰다듬어주면 튼튼하게 자란다고?

Section 2. 성장에 잠재된 성질
1-10 물과 양분을 식물 구석구석 보내는 통로, ‘물관’과 ‘체관’
1-11 물을 뿌리에서 잎끝까지 전달하는 세 가지 힘은?
1-12 식물 줄기의 웃자람을 방지하는 물질, 피토크롬
1-13 식물 줄기는 왜 빛이 비추는 방향으로 자랄까?
1-14 식물이 동물에게 뜯어먹혀도 끄떡없게 하는 힘, 정아우세
칼럼 01 ▶▶▶ 씨앗이 먼저일까, 식물이 먼저일까?

제2장_ 광합성은 잎 속 어디에서 이루어질까?

Section 1. 광합성을 알아보자
2-1 음식을 먹지 않는 식물이 성장하는 비결은?
2-2 광합성 속도 조절기, ‘광·광합성곡선’
2-3 ‘빛 강도’와 책상조직 ·해면조직의 관계는?
2-4 식물은 0.04퍼센트 이산화탄소를 귀신같이 빨아들인다고?
2-5 이산화탄소 농도는 왜 여름에 줄고 겨울에 늘까?
2-6 광합성은 잎 속 어디에서 이루어질까?
2-7 색소 클로로필은 어떻게 빛을 흡수할까?
2-8 녹색광은 왜 잎 내부에서 이리저리 돌아다닐까?

Section 2. 광합성으로 식물을 분류한다
2-9 빛이 충분해도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면 광합성이 안 된다?
2-10 옥수수는 이산화탄소 부족을 고민하지 않는다고?
2-11 밤에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낮에 활용해 광합성 하는 식물, ‘CAM 식물’
2-12 CAM 식물의 요수량이 현저히 낮은 까닭은?
칼럼 02 ▶▶▶ 브로콜리가 지닌 발암물질 독성 제거력과 체외 배출 효능의 숨은 열쇠, ‘설포라판’

제3장_ 꽃봉오리는 어떤 원리로 열리고 닫힐까?

Section 1. 꽃봉오리의 형성
3-1 왜 대다수 식물은 가을에 씨앗을 만들까?
3-2 식물 잎이 낮과 밤의 길이 변화로 온도 변화를 예측한다?
3-3 일조 시간을 조절하여 개화 시기를 제어하는 ‘전조 재배’
3-4 5월에 싹 틔운 줄기도 8월에 싹 틔운 줄기도 9월에 꽃피는 이유
3-5 나팔꽃 개화에 ‘낮 길이’보다 ‘밤 길이’가 더 중요한 까닭은?
3-6 식물의 어디를 차단하면 꽃봉오리가 만들어질까?
3-7 꽃봉오리를 만드는 물질, 플로리겐의 정체는?
3-8 장일식물 유전자는 왜 단일식물 유전자와 유사할까?
3-9 가을 파종 품종이 봄 파종 품종보다 품질이 뛰어난 이유
3-10 ‘꽃대가 선다’라는 말의 의미는?
3-11 식물의 꽃을 피우게 하는 세 가지 물질은?
3-12 꽃을 형성하는 구조 ‘ABC 모델’이란?
3-13 A, B, C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Section 2. 개화
3-14 꽃봉오리는 어떤 원리로 열리고 닫힐까?
3-15 꽃봉오리가 정해진 시각에 일제히 꽃피우는 비밀
3-16 꽃은 어떤 물질로 자기 몸을 치장할까?
3-17 식물을 해치는 활성산소를 없애는 두 가지 물질은?
3-18 백색 꽃잎에 들어 있는 두 가지 색소, ‘플라본’과 ‘플라보놀’
칼럼 03 ▶▶▶ 곰팡이가 만들어 벼 모의 키를 비정상적으로 자라게 하는 물질, ‘지베렐린’

제4장_ 바나나는 어쩌다 ‘씨 없는 과일’이 되었나?

Section 1. 수분에서 수정까지
4-1 감자 번식법이 자칫 그 생물 종의 전멸로 이어질 수 있다고?
4-2 식물이 자기 꽃가루를 자기 암술에 붙여 번식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
4-3 꽃가루가 암술 끝에 붙는 것만으로 씨앗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4-4 꽃가루관이 자라는 방향을 결정하는 물질, ‘조세포’
4-5 꽃가루가 암술 끝에 달라붙은 후 수정란이 만들어질 때까지 얼마나 걸릴까?
4-6 ‘유배유종자’와 ‘무배유종자’의 결정적 차이는?
4-7 자기 꽃가루를 자기 암술에 붙여 종자를 만들지 않으려는 성질, ‘자가불화합성’
4-8 왜 옆 나무의 꽃가루로 씨앗을 만들 수 없을까?

Section 2. 과실과 씨앗의 형성
4-9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는 물질, 에틸렌의 정체는?
4-10 바나나는 어쩌다 ‘씨 없는 과일’이 되었나?
4-11 씨앗이 만들어지지 않았는데도 과실이 크게 자라는 성질, ‘단위결과’
4-12 씨 없는 수박과 씨 없는 포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4-13 성직자이면서 유전학자인 멘델이 8년간의 완두콩 연구로 알아낸 것은?
4-14 둥근 콩과 주름진 콩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질까?
4-15 빨간 꽃을 피운 꽃나무에서 만들어진 씨앗을 키웠더니 하얀 꽃을 피웠다고?
칼럼 04 ▶▶▶ 시금치를 신선하게 유지하는 가장 좋은 보관법은?

제5장_ 나팔꽃 씨앗이 단단한 껍질을 갖게 된 까닭은?

Section 1. 씨앗과 새싹의 휴면과 발아
5-1 발아의 3가지 조건은?
5-2 씨앗이 발아하지 않는 독특한 상태, ‘휴면’이란?
5-3 빛이 닿으면 발아를 억제하는 씨앗이 있다고?
5-4 양상추 씨앗에 원적색광을 비추면 발아가 억제되는 이유
5-5 씨앗은 ‘피토크롬’ 덕분에 빛 색을 구분한다?
5-6 잡초 씨앗에 닿는 빛을 차단하면 잡초를 퇴치할 수 있다?
5-7 씨앗은 왜 꼭 ‘겨울 추위’를 느껴야 발아할까?
5-8 식물은 온도 변화가 없으면 발아하지 않는다?
5-9 나팔꽃 씨앗은 왜 단단한 껍질을 갖게 되었나?
5-10 종피를 벗기고 알맹이만 남은 ‘나출종자’의 장단점
5-11 아밀라아제 없이 씨앗은 발아할 수 없다고?
5-12 발아하기 어려운 씨앗도 ‘지베렐린’을 주면 발아시킬 수 있다?
5-13 씨앗 발아에 관여하는 또 다른 물질, ‘아브시스산’의 정체는?

Section 2. 불편한 환경과의 싸움
5-14 ‘땅속줄기’를 무기로 무한 생존력을 자랑하는 식물, 쇠뜨기
5-15 ‘로제트’ 형태로 겨울을 지낸 식물이 봄 발아 식물보다 빨리 성장하는 이유
5-16 양미역취는 어떻게 다른 식물의 발아나 성장을 억제할까?
5-17 식물이 곰팡이ㆍ병원균을 퇴치하는 데 사용하는 물질, 피톤치드
5-18 편백나무가 세균과 벌레에 강한 것은 독특한 ‘향기’ 덕분이다?
5-19 식물이 병원체와 싸우기 위해 만든 무기, 파이토알렉신
5-20 비늘줄기에 지닌 독성물질 ‘리코린’으로 자신을 지키는 수선화
5-21 식중독 원인의 독성 물질 ‘콜히친’이 통풍 특효약이라는데?

Section 3. 잎의 노화와 낙엽
5-22 은행잎이 샛노란 이유는 ‘카로티노이드’ 색소 때문이다?
5-23 ‘안토시아닌’이 없으면 붉은 단풍잎도 볼 수 없다?
5-24 잎이 스스로 떨어지는 게 사실일까?
5-25 식물은 왜 가지로부터 떨어지는 부분, ‘이층’을 만들까?
5-26 왜 상록수의 잎은 1년 내내 녹색일까?
5-27 ‘응고점강하’를 무기로 겨울에도 신선한 잎을 유지하는 상록수
5-28 채소와 과일은 왜 추위를 겪으면 더욱 달콤해질까?

Section 4. 살아가는 방법은 다양하다
5-29 식충식물이 점액을 내뿜는 이유는?
5-30 벌레를 잡아먹는 파리지옥도 광합성 하는 식물이다?
5-31 기생식물과 착생식물의 근본적 차이는?
5-32 라플레시아가 지독한 악취를 풍기는 이유는?
5-33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 등으로 생존하는 식물, 부생식물

참고문헌
책제원정보
ISBN 9791188635993
판형정보 218쪽 / 140 X 205mm
출판사 사람과나무사이
출판일 2024-06-15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똑똑한 식물학 잡학사전
    16,200원

총 주문금액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