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 여우의 초대
이야기를 시작하며_ 사람이 자원인 나라
1장 특수교사와 아이들은 어떻게 사는가
발달장애 학생을 교육하면서 학부모들과 소통했던 이야기와 장애 학생의 삶에 관한 이야기를 실었다.
ㆍ 심석 어머니와의 이야기
ㆍ 조회를 서며
ㆍ 학부모의 죽음 소식을 접하며
ㆍ 작지만 아름다운 것들
ㆍ 아이들이 무서워질 때
ㆍ 자연의 힘, 사람의 힘
ㆍ 보이지 않는 것 보기
ㆍ 썰매 만들기
ㆍ 자연에 본받는 이야기
ㆍ 문제 행동을 바라보다
ㆍ 환경을 괴롭히는 환경 구성
ㆍ 고3 담임의 졸업식
ㆍ 간 보기
ㆍ 선글라스를 끼다
ㆍ 내 속에 마음 기르기
ㆍ 일쌍다반사!
ㆍ 봄볕이 부럽다
ㆍ 똥과 사랑
ㆍ 표준화된 삶
ㆍ 행복하지 못한 선생
2장 어떻게 아이들을 사랑해야 하는가
발달장애 학생을 가르치면서 느꼈던 사랑, 교육, 인권 등에 관한 이야기를 실었다.
ㆍ 사랑, 그 편린들
ㆍ 공중부양의 묘미
ㆍ 평화로운 교육, 우리 아이들도 누릴 권리
ㆍ 원래 자기 모습대로 있을 수 있는 권리
ㆍ 어떻게 하는 것이 정말로 잘 도와주는 것일까요?
ㆍ (특수) 교육이 만나는 대상
ㆍ 마음속 그릇 비우기
ㆍ 행복한 삶
3장 사람과 노동
사람 삶의 욕구이자 살 자체인 노동에 관한 이야기로 놀이, 증여, 참여, 교환 노동에 관한 이야기가 진행된다.
ㆍ 사람의 탄생
ㆍ 보이는 색은 보이지 않는 색을 볼 때 볼 수 있는 색이다
ㆍ 물들며 보다
ㆍ 보고 물들어 편에 서다
ㆍ 순수한 마음은 없다
ㆍ 말하고 실천하다
ㆍ 노동과 사람의 가치
ㆍ 잉여 인간
ㆍ 노동의 새로운 장
ㆍ 새로운 장 위의 노동
ㆍ 삶 그 자체로서의 노동을 위해
4장 특수를 깨뜨려야 교육이 산다
현재의 특수교육이라는 ‘노란 버스’를 잠시 멈추고 발달장애인을 위한 적절한 교육을 고민하자는 제안을 실었다
ㆍ 장애와 장애인(간)
ㆍ 천사 같은 장애인?
ㆍ 치료, 개선이 필요합니다
ㆍ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생각
ㆍ 모두에게 적절한 교육
ㆍ 학급의 신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에필로그_ 우연이 쌓이면 필연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