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부. 아가일여(我家一如): 나의 건축, 나의 삶
맥과 칸
건축에 대한 다섯 가지 물음
1. 묘지 봉분에 대한 물음
1) 영조문화(營造文化)
2) 풍류미학(風流美學)
2. 인간 행위에 대한 물음
1) 아가오장(我家五場)
2) 인생오장(人生五場)
3. 집의 어원에 대한 물음
1) 아가일여(我家一如)
2) 집은 사람이다
4. 형상 문자에 대한 물음
1) 형상팔경(形象八境)
2) 오간의경(五間意境)
5. 인체 중심에 대한 물음
1) 심장중심(心臟中心)
2) 오간도량(五間道量)
2부. 아가오장(我家五場): 설계 작업에 적용된 개념과 실제
삶/ 안식의 장 근본으로 돌아가는, 귀소헌
역사와 자연을 아우르는, 백학재
때와 곳이 늘 어진 집, 시선재
‘유랑을 끝낸 집시들의 마지막 거처, 카치올리’
마음속에 지은 집, 솔의 집
공허공간의 구축, 응백헌
앎/ 수행의 장 하늘로 향한 석양의 신전, 은평구립도서관
지상의 빛 천상의 빛, 흑빛청소년문화센터
나무의 꿈, 자혜학교 직업교육관
몸맘의 양식, 책마을해리 별마중달마중·부엉이화덕
바다로 가는 책담길
놂/ 창조의 장 세 가지 생각, 비전힐스골프클럽하우스
나비의 꿈, 눈의 집
풂/ 상생의 장 작업의 장, 에바스 화장품 공장
공간의 공유성, 대건(DG.) 빌딩
소통의 통로, 삼성동 주민자치회관 리모델링
빎/ 기원의 장 88서울올림픽 상징조형물, 평화의 문
몸과 마음과 얼의 집, 제일영광교회
생명이 솟는, 등불교회 에이블아트센터
부록/ 곽재환 건축론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