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 | 이진형 |
1부 대안 공동체
기후위기 시대 상호물질성의 정치 | 김태희 |
상호주관성
상호문화성
상호물질성
인간-비인간의 정치
동물의 모빌리티:반려동물의 대중교통 이용 향상을 위한 법ㆍ정책적 고찰 | 임보미 |
반려동물의 모빌리티
외국의 반려동물 관련 법제와 대중교통 이용 현황
반려동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안-결론에 갈음하여
2부 공간과 미디어
사고-되기와 결함-되기의 정치 | 이용균ㆍ길광수 |
들어가며
항공모빌리티와 항공사고-되기
저먼윙스 사고의 발생과 조사
사고-되기와 결함-되기의 구성
항공사고의 탈-정치화와 재-정치화
나가며
렘 콜하스의 ‘살아 있는’ 플랫폼, 〈보르도 하우스〉, 포스트휴먼 신체 | 이재은 |
콜하스의 〈보르도 하우스〉와 르무완느 신체의 모빌리티
아키그램과 사이보그 건축
아키그램과 콜하스의 만남
〈보르도 하우스〉의 구조
‘살아 있는’ 플랫폼의 아이디어
건축과 인간의 만남, 사이보그, 포스트휴먼 신체
텔레비전 미디어의 보급과 생활세계: 오오카 쇼헤이 《구름의 초상》을 중심으로 | 우연희 신인섭 |
인프라와 텔레비전
일본에서의 텔레비전 등장과 보급
일본 전후 부흥의 상징, 텔레비전
텔레비전 전파 송출의 다층적 의미
텔레비전의 보급과 생활세계
3부 트랜스내셔널 스토리월드
여행·교통·젠더의 모빌리티를 반영한 나혜석의 구미여행기 | 정은혜 |
나혜석의 여행기를 모빌리티로 간주하다
‘여행과 교통’, 그리고 ‘젠더적 관점’에서 바라본 모빌리티 이론
나혜석의 생애를 통해 살펴본 구미여행기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
여행·교통·젠더 모빌리티를 반영한 나혜석의 구미여행기 해석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
의학교육의 이동과 변용: 근대 일본 의사 집단의 식민지 진출과 한국 의학교육 | 서기재 |
들어가며
일본의 제국대학 출신 의사들과 식민지 관립병원 구축
일제 강점 초기 동인회의 역할과 의학교육의 개시
사토 고조를 중심으로 본 한국 근대 의학교육
나오며
사이버 공간과 DNA 기술의 활용: 한국계 해외입양인들의 초국적 이주와 친가족 찾기 | 배진숙 |
한국 해외입양의 역사
DNA 기술의 발전
입양인의 한국과 미국에서의 차별 경험
기술의 발전과 친가족 찾기에 대한 희망
과거 친가족 찾기 방식의 대안
마음의 평화, 그리고 진실
모든 경우가 해피 엔딩은 아니지만
친모의 비밀과 죄책감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