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그림 차례
표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3. 선행 연구 검토
2. 이론적 논의
2.1. 한국어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특징 및 분류
2.2. 한중간 한자어 대조 유형의 분류
2.3. 어휘 습득
2.3.1. 모국어 전이
2.3.2. 한자어 대조 유형 및 동족어 개념
3. 연구 절차 및 방법
3.1. 연구 대상 및 절차
3.2. 연구 방법
3.2.1. 연구 대상 어휘 선정
3.2.2. 유형별 한자어 판정
3.2.3. 한자어 인식 및 평가 도구
3.2.4. 한자어 인식 조사 및 능력 평가
3.2.5. 채점 방식과 절차
3.2.6. 통계 처리 방법
4. 한자어 인식 조사 결과
4.1. 중국인 학습자의 인식 조사 결과
4.2. 한중간 한자어 유형에 따른 인식 조사 결과
4.3. 숙달도에 따른 인식 조사 결과
5. 한중 한자어 대조 유형별 습득 양상
5.1. 숙달도에 따른 한자어 습득 양상
5.1.1. 한자어의 표현 양상
5.1.2. 한자어의 이해 양상
5.1.3. 한자어의 습득 양상
5.2. 숙달도에 따른 한자어 유형별 습득 차이 비교
5.2.1. 숙달도에 따른 초급 한자어 유형별 습득 양상
5.2.2. 숙달도에 따른 중급 한자어 유형별 습득 양상
5.2.3. 숙달도에 따른 한자어 유형별 습득 차이 비교
6. 한자 병기 유무에 따른 습득 양상
6.1. 한자 병기 유무에 따른 한자어 습득 차이 비교
6.2. 한자 병기 유무에 따른 한자어 유형별 습득 차이 비교
6.2.1. 한글 집단의 한자어 유형별 습득 양상
6.2.2. 한자 병기 집단의 한자어 유형별 습득 양상
6.2.3. 한자 병기 유무에 따른 한자어 유형별 습득 차이 비교
7. 중국인 대상 한자어 교육 방향
7.1. 한자어 교육의 우선순위
7.2. 한자어 교육 방향 제시
8. 결론
참고문헌
부록
中文摘要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