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ㆍ 먼저 읽은 독자들의 찬사
ㆍ 한국어판 출간을 축하하며
ㆍ 글을 시작하며
ㆍ 프롤로그
[칼럼] 어깨에 힘 빼고 최선이 아닌 차선으로
Part 1. 서포트북이 절실히 필요했던 순간들
ㆍ 아이를 위한 맞춤 지원법이 필요할 때
ㆍ 가족 없이 처음으로 외박할 때
ㆍ 감정 폭발을 자주 일으키는 불안정한 시기일 때
ㆍ 2박 3일 스키 캠프에 참가해야 할 때
ㆍ 매년 담임이 바뀌는 고등부에 진학할 때
ㆍ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실습 준비할 때
ㆍ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실습용 자료 만들 때
ㆍ 여가활동을 위해 활동지원사와 외출할 때
[칼럼] “서포트북을 읽으면 어머님이 어떤 분인지 보여요”
Part 2. 서포트북만들기 전에 꼭 유념할 것
ㆍ 서포트북은 누가 사용할까
ㆍ 서포트북에 무엇을 쓸까
ㆍ 서포트북 만들 때 유의할 사항
ㆍ 서포트북 빈칸을 어떻게 채울까
ㆍ 막상 하려니 빈칸이 잘 채워지지 않을 때
ㆍ〈우리 아이 발견 작성표〉를 서포트북으로 바꾸기
[칼럼] “아이가 조금씩 이해되기 시작했어요”
ㆍ 서포트북 해석편과 실전편을 소개하며
Part 3. 서포트북에꼭 넣어야 할 자폐 정보 - 해석편
ㆍ 서포트북에 가장 먼저 기재할 것
ㆍ 아이를 지원할 때 꼭 기억할 것
ㆍ 여러 의미가 담긴 ‘상동행동’
ㆍ 상동행동 6가지 의미별 대처하는 방법
ㆍ ‘집착’에 대처하는 방법
ㆍ ‘떼쓰기’에 대처하는 방법
ㆍ ‘감정 폭발’에 대처하는 방법
ㆍ ‘자폐 경향’에 대처하는 방법
ㆍ ‘자폐 경향 신호’를 미리 알아두기
ㆍ ‘웃음’의 의미 알고 대처하는 방법
ㆍ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방법
ㆍ ‘긴장증’에 대처하는 방법
ㆍ 신뢰 관계 확립을 위한 지원 방법
ㆍ 긴급 연락처 꼭 기재하기
[칼럼] 수십수백 번의 실패 뒤에 만들어진 결과물
Part 4. 서포트북으로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방법 - 실전편
ㆍ ‘의료적 측면’ 지원하는 방법
ㆍ ‘식사’ 지원하는 방법
ㆍ ‘식사 예절’ 지원하는 방법
ㆍ ‘목욕’ 지원하는 방법
ㆍ ‘세안, 양치질’ 지원하는 방법
ㆍ ‘옷 갈아입기’ 지원하는 방법
ㆍ ‘수면’ 지원하는 방법
ㆍ ‘화장실’ 지원하는 방법
ㆍ ‘성교육’ 지원하는 방법
ㆍ ‘여가활동(수영장)’ 지원하는 방법
ㆍ ‘여가활동(자전거)’ 지원하는 방법
[칼럼] 싫어하는 음식을 자연스럽게 먹게 하다
ㆍ 에필로그
[칼럼] 사고 예방을 지원해 주는 자폐 아동의 필수품
ㆍ 글을 마치며
[부록] 서포트북, 이렇게 만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