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도입: 표류하는 삶
표층 아래의 정치적인 것을 향하여
표층 아래의 정치적인 것: 노동, 국경, 인종
기후변화와 이주: 지층의 이동정치학
제1부 정치: 변화하는 영토, 국경, 주체성
제2장 기후변화와 민주주의, 인본주의의 위기
인류세
신자유주의
전 지구적 빈민가와 피난민
민주주의의 전복
결론
제3장 ‘박해받지 않으면’ 난민이 될 수 없다: 영토, 보안, 기후
영토 및 안보
비전통적 안보
인류세에서의 주권
사라지는 국가, 움직이는 사람들
지정학을 다시 생각하다
제4장 바다에서 죽다
전 지구적 조수
새로운 폭력적인 지리학
피난처 없는 세상
희생 없는 죽음
폭력의 자연사
제5장 불안정한 미래: 기후변화와 이주, 보이지 않는 장면에서 회복력의 생명정치
도입
기후 이동의 극적인 장면
첫 번째 장면: 기후난민
두 번째 장면: 재난 길들이기
(보이지 않는) 장면: 정치를 벗어나서
보이지 않는 장면에서의 생명정치학
결론
제2부 인류세: 인간 모빌리티의 황혼기에 대하여
제6장 갈라지는 바다 : 움직이는 바다
제7장 초월적 이주: 기후변화 피난처 찾기
종의 피난처
이주하는 삶
대항 인류세
원주민의 텐트 대사관 1972
제8장 낯선 행성의 이방인들: 환대와 홀로세 기후변화에 대하여
사회적 사고와 움직이는 땅
홀로세 지정학
환대와 기후이주민
제9장 모빌리티 위기로서의 전 지구화: 구형학 비판
도입: 지구적이란 무엇인가?
권력의 기하학 및 불균등한 모빌리티
난민 생산
면역 영역
구형학을 소개하며
자궁 내 사회화
내구권Endospheres으로서의 문화
지구체에서 거품으로
맺는 말
제3부 다름: 기후, 이주 그리고 과거와 미래 차이의 (재)생산
제10장 탈식민 시대의 생태적 이주민
제11장 떠다니는 기표, 초국적 정동의 흐름: 오스트레일리아 뉴스 담론에서 기후이주민
데이터, 방법 및 컨텍스트
오스트레일리아 뉴스 보도 담론에서 기후이주민
이주 및 초국가적 정동 흐름
제12장 욕망의 재정렬: 백인성과 이질성에 관하여
도입
‘기후변화와 이주’의 인류학적 특성과 포스트인종적 집합체
영화 분석
백인 이성애규범성의 욕망-생산을 넘어서
제13장 후기後記 : 탈식민 세계에서 표류하는 삶
영구적인 재난, 탈식민주의적 세계관과 유럽의 회귀
인과관계, 행위성 그리고 주체성
대중문화, 자연재해 및 수용소
탈식민지 수용소와 자연재해
괴물성과 재난
비생산적이고 시장성 없는 괴물들과 정서적 공동체를 구축할 권리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