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1장 태초에 정보가 있었다
1. 정보의 철학사 | 2. 컴퓨터 중심주의 | 3. 지능의 설계 | 4. 바름과 진리 | 5. 디자인 vs. 다자인 | 6. 로보 다자인 | 7. Imitation Game
1부 그리스로부터
2장 수학에 대한 그리스 철인들의 사유
1. 들어가는 말 | 2. 플라톤의 수학철학 | 3.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 | 4. 의의
3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론과 램지 문장
1. 들어가는 말 | 2. 보편자와 분리의 문제 | 3. 보편자와 개별자의 관계 | 4. 보편자와 실체 | 5. 램지 문장 | 6. 다시 아리스토텔레스로
보론: 슐릭과 바바라
1.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 2. 슐릭의 시대착오
4장 분석과 종합의 논리적 확장
1. 규칙과 오류 | 2. 파푸스 | 3. 분석과 종합 | 4. 방법의 확장 | 5. 의의
2부 근대성의 해부
5장 명제의 구분과 지식의 근거
1. 들어가는 말 | 2. 흄과 라이프니츠 | 3. 칸트 | 4. 칸트 비판 | 5. 논리실증주의 | 6. 콰인
6장 근대 과학철학을 뒤흔든 흄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 2. 근대과학의 두 철학파 | 3. 흄의 문제 제기 | 4. 흄 이후
7장 이론의 세계: 라이프니츠와 칸트
1. 들어가는 말 | 2. 이론의 구조 | 3. 이론의 변동 | 4. 라이프니츠 | 5. 칸트 | 6. 라이프니츠와 칸트
3부 칸트의 안과 밖
8장 칸트의 도식론: 규칙론적 접근
1. 들어가는 말 | 2. 무엇이 문제인가? | 3. 기존의 해석들 | 4. 경험적 개념과 그 도식 | 5. 순수 개념과 그 도식 | 6. 해체
보론: 도식의 동형론적 해석
1. B177 | 2. 첫째 문장 | 3. 둘째 문장 | 4. 동형론
9장 칸트와 현대 물리학
1. 포스트 비트겐슈타인 | 2. 칸트의 수학철학 | 3. 번역 매뉴얼로서의 양자역학 | 4. 수학적 관념론 | 5. 측정의 현상학 | 6. 모순의 현상학 | 7. 일관성의 종말 | 8. 인칭
보론: 윌커슨의 칸트 해석
1. 칸트의 오류? | 2. 윌커슨의 오류? | 3. 기하학 | 4. 논증 | 5. 결론
10장 맥도웰의 칸트적 분석철학
1. 콰인, 데이빗슨, 맥도웰 (I) | 2. 맥도웰, 칸트, 헤겔 | 3. 콰인, 데이빗슨, 맥도웰 (II) | 4. 맥도웰 비판
에필로그: 탈분석철학
4부 토론
11장 인공지능의 철학
1. 논평 (이중원) | 2. 답론 | 3. 한국칸트학회에서의 토론 | 4. 강릉에서의 토론
12장 수학의 존재론적 근거
13장 순수과학비판
1. 논평 (고인석) | 2. 답론 | 3. 한국분석철학회에서의 토론 | 4. 연세대에서의 토론 | 5. 논평 (김한라) | 6. 답론 | 7. 한국칸트학회에서의 토론 | 8. 논평 (박상훈) | 9. 답론
참고 문헌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