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시민을 육성하는 프랑스 교육
프랑스 철학 교육의 목적은 틀을 익히는 것
틀은 모순적일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틀의 사례
당연함을 의심하기 위한 틀을 가르치는 철학 교육
이 책의 구성
1장 프랑스 철학 교육
철학을 필수로 배우는 프랑스 고등학생
바칼로레아 시험은 어떤 것인가?
‘바칼로레아의 대명사’는 철학
고등학생은 어떤 ‘철학’을 배울까?
철학 교육은 ‘철학자를 육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정말 프랑스 사람은 모두 철학을 잘할까?
역시 철학은 어렵다
철학을 배우면 어떤 능력을 익힐 수 있을까?
시민을 육성하는 철학
2장 사고의 틀이란 무엇인가?
‘자유롭게 사고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자유와 제약은 대립하지 않는다!
틀에 맞추는 것의 장점
‘자유롭게 논하시오’의 부자유함
자유롭게 논하고, 아는 것을 기술하시오
사고의 틀 안에서 자유롭게 사고하라!
사고의 틀, 구성 요소 세 가지
사고의 틀, 평가 요소 세 가지
좋은 답안이란 무엇인가?
사고의 틀, 사용 방법
3장 사고의 틀 전체상
수험생은 어떻게 문제를 푸는가?
문제의 주제를 분석하라
문제의 형태를 분석하라
문제의 표현을 정의하라
문제에 ‘네, 아니요’로 대답해 보자
문제의 세부 내용에 주목하라
문제를 질문의 집합으로 변환하라
논거를 모아 활용하라
구성안이 소논문의 질을 결정한다
구성안 예시
구성안을 소논문으로
사고의 틀을 활용한 소논문 작성법
사고의 틀을 활용하기 위해
4장 노동, 자유, 정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노동 : 노동이란 무엇인가?
즐거운 노동
자아실현으로써의 노동
노동을 향한 비판-마르크스와 니체
기술의 진보와 분업
기술의 위험
자유 : 자유를 정의하다
자기 지배로써의 자유
사회에서의 자유
도덕적 자유
자유의지의 문제
정의 : 정의란 무엇인가?
자연 상태와 사회 계약
자연법과 실정법
법의 한계, 법률은 항상 공정한가?
5장 사고의 틀로 철학을 하다
사고의 틀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노동 : 노동은 우리를 더 인간답게 만드는가?
자유 : 기술은 우리의 자유를 증진하는가?
정의 : 권력 행사와 정의 존중은 양립 가능한가?
6장 사고의 틀을 응용하다
사고의 틀을 응용하다
교양이란 무엇인가
사고의 틀을 익히는 의의
질문을 만드는 사람
질문을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
사고의 틀, 한계를 넘어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에서 배우는 대답하는 법
문제를 복수의 질문으로 분해하라
질문의 전제를 의심하라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을 넘어
‘설명하다’에 어떻게 답할 것인가?
정답이 없는 문제, 괜찮다
에필로그
사고의 틀과 시민 교육
프랑스다운 사고의 틀, 유래와 한계
사고의 틀을 활용하기 위해
사고의 틀이 만들어지기까지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