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I 국내 응급의료체계
CHAPTER 01 응급의료체계 개요
1. 응급의료체계의 개념 및 정의
2. 응급의료체계의 역사
3. 응급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구성요소
4. 응급의료체계의 목적
5. 국내 응급의료기관 소개
6. 응급의료제공자의 교육 프로그램
7. 응급의료체계의 질 관리 및 개선
CHAPTER 02 병원전 단계
1. 우리나라의 신고접수 및 이송체계
2. 외국의 신고접수 및 이송체계
CHAPTER 03 병원 단계
1. 응급의료서비스의 지역화와 단계화
2. 응급실의 시설, 장비, 인력
3. 병원간 이송
4. 병원 응급구조사의 업무
CHAPTER 04 응급구조사
1. 응급구조사의 역할과 책임
2. 응급구조사의 안전 및 안녕
3. 응급구조사의 스트레스 요인과 관리방법
4. 응급구조사의 노출될 수 있는 감염 및 예방법
5. 응급구조사의 철학과 윤리
6. 법적 문제 및 책임
CHAPTER 05 의료지도
1. 의료지도 개요
2. 직접의료지도(Direct M.O)와 간접의료지도(Indirect M.O)
3. 현장에서의 의료지도
4. 의료지도의 요청
CHAPTER 06 응급의료정보 활용
1. 응급의료 통신체계 요소
2. 통신장비 원리
3. 통신장비를 이용한 통신방법
4. 통신장비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5. 유선통신
6. 응급의료정보기술
7.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8. 기록
PART II 해외 응급의료체계
CHAPTER 07 응급의료체계 구성요소와 특성
1. 응급의료체계의 구성요소
2. 응급의료체계 구성요소의 특성
CHAPTER 08 세계 각국의 주요 응급의료체계 유형
1. 영미형 응급의료체계
2. 독불형 응급의료체계
3. 동아시아 응급의료체계
4. 개발도상국 응급의료체계
5. 사회주의 응급의료체계
PART III 환자 구조와 이송
CHAPTER 09 항공의료이송
1. 항공의료이송의 역사
2. 항공 응급의료 이송체계
3. 항공의료이송의 기기와 의료장비
4. 항공생리
5. 응급의료헬기의 임상적 이용
6. 착륙지대
CHAPTER 10 구급차의 운용
1. 구급차의 개요
2. 구급차의 유형과 장비 등의 기준
3. 구급차의 운용 및 관리기준
4. 구급차 관리
CHAPTER 11 환자구조
1. 환자이동
2. 구조활동과 장비
3. 구급장비
4. 응급의료기관 장비
5. 응급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중환자 치료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