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함께, 평화의 세상으로 나아가는 경계에 서기를
· 내 것으로 해석이 가능한 학급 솔루션의 정석
프롤로그: 이른 아침, 학교 갈 준비를 하고 있다.
1부. 학교 가는 길에서 만난 사람들
·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1장. 아이와 아빠의 선택
2장. 평화를 선택한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것일까?
3장. 내가 사건의 당사자가 되었을 때
2부. 학교 정문을 들어서며 생각한 것들
· 학교에서 어떻게 관계를 배울 수 있을까?
1장. 관계의 나침반, 회복적 생활교육
2장. 관계 형성과 관계 회복의 모형
3장. 회복적 교육은 평화교육이다.
3부. 우리 교실에는 ‘관계공감소통’가 있다
· 관계 형성에는 연습이 필요하다.
1장. 환대의 교실 만들기
2장. 우리 교실에는 ‘관공소’가 있다.
3장. 학급의 관계를 만드는 Mom 놀이+Mam 놀이
4부. 관계의 로드맵을 만드는 대화
· 교실 관계망을 ‘인수분해’하다
1장. 우리는 매일 대화를 연습한다.
2장. 모두에 의한, 모두를 위한 서클 대화
3장. 정작 아이들 가정에 대화가 필요해요
4장. 교육전문가로서 학부모와 대화로 협업하기
5부. 갈등전환으로 가는 길
· 갈등은 문제가 아니다.
1장. 갈등은 새로운 관계를 만든다.
2장. 갈등 해결을 위한 분석의 기술
3장. 교실 갈등에 필요한 핵심 질문들
에필로그: 퇴근길, 학교의 매트릭스를 통과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