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적 특징과 개선 과제
1-1 머리말 / 18
1-2 유럽 사회적경제의 제도적 발전과정과 비영리섹터 개념과의 비교 / 20
1-3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적 발전과정 및 정책의 특징 / 39
1-4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적 보완과제 / 48
1-5 맺음말 / 53
제2장 사회적경제에서 사회적기업가정신의 다양성
2-1 머리말 / 60
2-2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이해: 개념과 유형 / 63
2-3 연구설계: 사례지역과 분석틀 / 74
2-4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유형별 사례분석 / 80
2-5 맺음말 / 106
제3장 사회적자본, 사회적경제 그리고 지역경제 발전
3-1 머리말 / 122
3-2 선행연구 검토 / 124
3-3 연구방법 / 132
3-4 연구결과 / 138
3-5 맺음말 / 147
제4장 한국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재투자와 지속가능성
4-1 머리말 / 158
4-2 사회적경제의 사회적 재투자와 지속가능성 / 160
4-3 한국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재투자 / 164
4-4 사회적 재투자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 171
4-5 맺음말 / 175
제5장 한국사회적경제기업의경제적성과와비즈니스유형
5-1 머리말 / 180
5-2 한국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제적 성과 / 182
5-3 한국 사회적경제 기업의 가치사슬 구조 / 192
5-4 한국 사회적경제 기업의 비즈니스 유형 / 209
5-5 맺음말 / 221
제6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지원 환경과 사회ㆍ경제적 성과
6-1 머리말 / 230
6-2 사회적경제의 사회ㆍ경제적 성과와 지속가능성 / 232
6-3 분석자료 및 방법 / 239
6-4 분석결과 / 242
6-5 맺음말 / 248
제7장 ODA를 통한 사회적경제의 모델 수립
7-1 머리말 / 256
7-2 한국 ODA와 시민사회 / 258
7-3 ODA와 사회적경제의 관계성 / 265
7-4 맺음말 / 274
제8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국제개발협력 접목 방안
8-1 머리말 / 280
8-2 한국 사회적경제와 국제개발협력의 법제도적 접근 / 281
8-3 한국 사회적경제와 국제개발협력 사례 / 290
8-4 맺음말 / 304
제9장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의 확산전략
9-1 머리말 / 310
9-2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의 확산 영역 / 313
9-3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의 확산 동향 / 320
9-4 확산전략 / 331
9-5 맺음말 / 336
제10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토대, 성과, 그리고 미래
10-1 한국 사회적경제의 토대, 성과, 그리고 미래 /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