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글
1부 ┃ 키에르케고어의 실존과 신학적 자기됨
1장 _ 키에르케고어의 실존 사상에서 가능성과 자기
1. 『철학적 조각들』에 나타난 가능성: 존재의 계기
2. 『비학문적 후서』에 나타난 가능성: 시(時)와 미학
3. 『죽음에 이르는 병』에 나타난 가능성: 자기됨의 원리
1) 자기(Selbst)
2) 절망(Verzweiflung)
4. 키에르케고어의 미학적 공헌과 한계
2부 ┃ 리쾨르의 실존과 해석학적 자기됨
2장 _ 리쾨르의 사상에 나타난 실존과 자기
1. 『의지적인 것과 비의지적인 것』에 나타난 가능성과 필연성
2. 의지 철학에서 상징 해석학으로의 전향
3장 _ 삼중 미메시스(triple mimesis)
1. 미메시스 개념의 이해
2. 미메시스 I: 선(先) 이야기적 구조로서 현실
- 전 형상화(Pre-figuration) 단계
3. 미메시스 II: 창작된 가능성 - 형상화(Con-figuration) 단계
4. 미메시스 III: 독자의 현실 - 재형상화(Re-figuration) 단계
1) 독자의 수용 미학과 텍스트 이론
2) 이야기 정체성과 자기
3부 ┃ ‘미학적 자기됨’과 새로운 존재론
4장 _ 삼중 미메시스를 통한 키에르케고어의 ‘미학적 자기됨’ 분석
1. 키에르케고어의 익명(Pseudonym) 저서에 나타난 미메시스의 흔적
2. 미적 실존의 문제
3. 미와 구원 - ‘반복’ 개념을 중심으로
4. 미메시스적 자기됨을 통한 키에르케고어 미학의 재평가
5장 _ ‘미학적 자기됨’과 새로운 존재론
6장 _ ‘미학적 자기됨’과 미술
1. 성(聖) 미술과 세속 미술
2. 미적 경험과 보편성
맺음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