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법률언어 연구의 기초
제1장 서론: 법률언어의 언어학적 연구 방향
1.1. 법률언어 연구의 필요성
1.2. 법률언어 연구의 목적
1.3. 법률언어 연구의 내용
제2장 법률언어 관련 이론
2.1. 법 언어학
2.2. 법률ㆍ수사 언어학
제3장 법률언어 연구를 위한 방법론
3.1. 가독성 이론: 통제언어 이론
3.2. 코퍼스 활용 언어분석
제2부 언어학 층위별 법률언어의 기술
제1장 법률언어와 어휘론
1.1. 법 개념의 정의
1.2. 법률에서의 어휘관계
제2장 법률언어와 형태ㆍ통사론
2.1. 수동 및 피동 현상
2.2. 주어 생략 현상
2.3. 기본어순
2.4. 수식어-피수식어의 어순
제3장 법률언어와 의미론
3.1. 대용어(Anapher)의 지시관계
3.2. 의미 요소들의 중복
3.3. 중의성
제4장 법률언어와 텍스트 언어학
4.1. 테마와 레마
4.2. 토픽과 코멘트
제5장 종합: 법률언어의 가독성 향상 방안
5.1. 가독성 이론
5.2. 어휘론적 관점에서의 가독성 향상 방안
5.3. 형태ㆍ통사론적 관점에서의 가독성 향상 방안
5.4. 의미론적 관점에서의 가독성 향상 방안
5.5. 텍스트 언어학적 관점에서의 가독성 향상 방안
제3부 코퍼스를 활용한 법률언어의 분석
제1장 어휘목록: 어휘별, 품사별 목록
1.1. 어휘별 목록
1.2. 품사별 목록
제2장 공기어 및 구문 추출
2.1. 명사-명사 공기어
2.2. 동사-명사 공기어
제3장 클러스터 추출
3.1. 기본 3법 전체에서의 클러스터
3.2. 각 법률에서의 클러스터
제4장 코퍼스 활용의 의미와 전망
4.1. 코퍼스 활용의 의미
4.2. 코퍼스 활용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