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능력
1. 의사소통 능력
2. 말하기 능력
3. 말하기 능력의 구성 요인
4. 한국어 말하기의 특징
2장 말하기 능력 평가의 기본 개념
1. 말하기 평가 유형
2. 언어 평가의 요건
3. 말하기 평가 구성 요인
4. 말하기 평가 문항 유형
5. 말하기 평가의 채점 체계
3장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실제
1. 발화의 내용
2. 발화의 조직
3. 발화에 나타난 표현
4. 발화의 전달
4장 말하기 숙달도 평가 기준
1. 말하기 숙달도 평가 문항 구성표
2. 말하기 숙달도 평가 문항 예시
3.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등급별 채점 기준 예시
5장 온라인 기반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 활용 방법
1. 컴퓨터 기반 언어 평가
2. 인터넷 기반 언어 평가
3. 인공지능 활용 온라인 평가
참고문헌
[ 부록 ]
부록 1.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문법 등급 목록(4단계)
부록 2.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어휘 등급 목록(4단계)
부록 3. 말하기 숙달도 평가 문항 예시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