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장 퇴계 이황의 저술과 ‘퇴계심학’ · 홍원식 / 13
1. 간략한 연보로 본 이황의 생애와 저술 · 15
2. 지금까지 우리는 퇴계학을 어떻게 연구해왔는가 · 18
3. 이황은 주자에게서 무엇을 배우고자 했는가 · 20
4. 퇴계학은 심학이다 · 22
제2장 『주자서절요』와 퇴계학 · 장윤수 / 29
1. 『주자서절요』 형성의 사상사적 배경 · 31
2. 초간본 『주자대전』의 간행과 이황의 교감(校勘) 작업 · 34
3. 『주자서절요』의 체제, 내용, 편집상 특징 · 40
1) 『주자서절요』의 체제와 편찬 동기
2) 『주자서절요』의 편집 방법과 실제 사례
3) 『주자서절요』의 편집 특징과 한계
4. 『주자서절요』의 보급이 조선시대 지식인 사회에 끼친 영향 · 51
5. 주자를 향해, 주자를 넘어 · 56
제3장 『송계원명리학통록』과 퇴계학 · 강경현 / 65
1. 퇴계학의 형성과 『송계원명이학통록』 · 67
2. 『송계원명이학통록』의 성립 · 71
3. 『송계원명이학통록』의 구성 · 82
4. 『송계원명이학통록』의 의의 · 92
1) 이학(理學)의 연원(淵源) 제시
2) 경(敬) 공부(工夫)의 위상 정립
5. 『송계원명이학통록』과 퇴계학 · 108
제4장 『천명도설』과 퇴계학 · 김우형 / 111
1. 『천명도설』의 개관 · 113
1) 『천명도설』의 판본
2) 『천명도설』의 제작 및 수정 과정
3) 『천명도설』의 구조와 내용
2. 『천명도설』과 퇴계학 · 140
1) 『천명도설』이 야기한 도덕론의 두 입장
2) 『천명도설』과 퇴계철학
제5장 「사단칠청논변서」와 퇴계학 · 이상호 / 155
1. 사단과 칠정 · 157
2. 주자학의 형성과 사단칠정 · 163
3. 주자학의 한국적 변용, 퇴계학 · 168
4. 사단칠정 논쟁과 「사단칠청논변서」 · 174
5. 사단칠정 논쟁에서 드러난 핵심 쟁점 · 178
6. 사단칠정 논쟁과 퇴계학 · 185
제6장 「심경후론」과 퇴계학 · 홍원식 / 191
1. 이황의 「심경후론」과 주요 논점들 · 193
2. 정민정의 인간됨과 『심경부주』에 대한 기본적 관점의 차이 · 200
3. 존덕성·도문학 공부의 병중과 편중 · 207
4. 정복심의 「심학도」와 인심·도심의 문제 · 212
5. 『심경부주』 연구와 조선유학 전개 · 216
제7장 『성학십도』와 퇴계학 · 최재목 / 221
1. 『성학십도』 읽기에 앞서 · 223
2. 『성학십도』를 만든 이유 · 224
3. 『성학십도』의 구조와 논리적 연관 · 230
4. 『성학십도』의 편집체계와 의미 · 234
1) 태극도(太極圖)
2) 서명도(西銘圖)
3) 소학도(小學圖)
4) 대학도(大學圖)
5)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6)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7) 인설도(仁說圖)
8) 심학도(心學圖)
9) 경재잠도(敬齋箴圖)
10)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
5. 동아시아 사회와 『성학십도』·261
제8장 『도산잡영』, 「도산십이곡」과 퇴계학 · 추제협 / 265
1. 이황의 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267
2. 『도산잡영』과 「도산십이곡」에 대한 기존의 논의 · 269
3. 이황의 그린 도산의 삶 : ‘퇴(退)’와 ‘은(隱)’ · 271
4. 『도산잡영』과 퇴계학 : ‘산수지락(山水之樂)’의 의미 · 280
1) ‘산수(山水)’의 의미 : 천리(天理)의 묘용(妙用)
2) ‘락(樂)’의 의미 : 빙호추월(氷壺秋月)의 삶
5. 「도산십이곡」과 퇴계학 : 성학(聖學)의 노래 · 298
1) 「도산십이곡」의 창작 배경과 공부론
2) 「도산십이곡」과 성학의 공부론
6. 『도산잡영』, 「도산십이곡」과 퇴계학 · 313
참고문헌 /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