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권 중_
일러두기
제3장 한대 전제정치하의 봉건 문제
1. 문제의 한정
2. 봉건과 초(楚)·한(漢) 흥망의 관계
3. 한대 봉건의 3대 변천
4. 봉건에 대한 전제의 억제 과정
5. 억제 과정에서 학술발전에 미친 중대한 영향
6. 학술사에서 동중서(董仲舒)가 뒤집어쓴 억울한 죄
7. 후한 전제정치의 계속되는 압박
원주
제4장 한대 일인(一人) 전제정치하의 관제(官制) 변천
1. 관제는 재상(宰相)제도를 골간으로 한다
2. 역사상 관제에서의 삼공(三公)·구경(九卿)에 대한 해명
3. 한대 관제의 일반적 특성
4. 관제 변천에 있어서 무제(武帝)의 핵심적 지위
5. 무제의 재상제도 파괴
6. 상서(尙書)·중서(中書)의 문제
7. 중조(中朝, 內朝) 문제에 대한 해명
8. 상서(尙書)는 전한시기에 내조신(內朝臣)이 아니었다
9. 무제 이후 재상의 지위와 관제상 삼공(三公)의 출현
10. 광무제의 추가적 재상제도 파괴와 이후 전제하의 관제변천 구조
11. 광무제의 지방 군제(軍制) 파괴와 그 심각한 결과
원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