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1. 이 책의 주요 논점들
1.2. 문법, 형식문법, 적격성, 합성성 원리
1.3. 합성성 원리의 구현 방법
1.4. 논의의 순서
제2장 한국어 통사구조에 관한 전제
2.1. 구 형성 원리로서의 핵계층 이론
2.2. 생성문법의 원리매개변인 이론 체계
2.3. 한국어의 내포문 구조
2.4. 한국어의 접속문 구조: 부가어 구조와 명시어 구조
2.5. 마무리
제3장 명사의 의미와 동사의 의미
3.1. 양화ㆍ술어논리 체계 하에서의 명사 의미 기술
3.2. 양화ㆍ술어논리 체계 하에서의 동사 의미 기술
3.3. 계사 ‘이-’와 ‘이다’ 구문의 의미 해석
3.4. 대칭동사와 상호동사의 의미 해석
3.5. 포괄동사 ‘하-’의 의미 해석
3.6. 마무리
제4장 양화사 명사항의 의미 해석
4.1. 양화사 명사항에 대한 이전 연구와 이동 접근의 문제
4.2. 대안: 가변 타입 접근
4.3. 양화사 후행 구성 명사항의 문제
4.4. 가변 타입 접근과 ‘영향권 중의’ 현상의 해명
4.5. 양화사 구문의 그 외 문제들
4.6. 이중주어문, 이중목적어문의 비분리 명사구: 양화사적 해석
4.7. 마무리
제5장 대명사와 흔적의 의미 해석
5.1. 대명사와 흔적의 결속변항 해석
5.2. 대명사의 지시적 해석
5.3. 대명사의 E-유형 해석
5.4. 덧풀이: 비논항 결속/논항 결속 구별의 문제
5.5. 공범주 요소들의 의미 해석
5.6. 편승 해석의 의의와 VP-생략 구문(영어), ‘그리하-’ 구문(한국어)
5.7. 교호대명사 ‘서로’의 편승 해석에 대한 설명
5.8. 마무리: 동지표를 가진 대명사와 결속변항의 대응 원리
제6장 한국어 양상 표현의 의미 해석
6.1. 양상 의미의 분석 방법6.2. ‘-겠-’과 ‘-을 것이-’
6.3. ‘-더라’, ‘-네’, ‘-구나’, ‘-지’의 양상 의미
6.4. 양상 표현 연결어미
6.5. 양상 의미를 표현하는 보조동사
6.6. 동사 ‘답-’의 양상 의미
6.7. 마무리
제7장 맥락, 판단자의 도입과 판단자 의존 의미의 해석
7.1. 맥락 개념과 판단자 개념의 필요성
7.2. 주관성 형용사 문장의 의미 해석
7.3. 덧풀이: ‘-더-’의 형식의미론적 기술들에 대한 비판과 대안
7.4. 마무리
제8장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의 의미 해석
8.1. 의도 구문의 통사구조의 특징
8.2. 명령형/청유형/약속형 어미의 의미 정의와 문장 의미 합성
8.3. 간접인용문의 의미 합성
8.4. 의도 양상 문법 요소들의 통사의미론
8.5. 한국어 의도 양상 요소 재정리
8.6. 의도 구문과 연접, 이접, 조건의 표현
8.7.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의 담화화용론
8.8. 마무리
제9장 의문문의 의미 해석
9.1. 선행 연구와 의문 구문의 유형화
9.2. 의문사의 양화사 해석
9.3. 의문 구문의 통사의미적 합성
9.4. 의문 구문 해석 체계의 조정
9.5. 의문사와 보조사 ‘-이나, -이라도, -도’의 상호작용
9.6. 반어의문문
9.7. 겹쳐진 양상 구조: ‘-더냐’와 ‘-을래’, ‘-을까’, ‘-지’
9.8. 의문형어미의 재정리
9.9. 의문문에 대한 다른 해석 방안들 1: 의문문은 명제들의 집합
9.10. 의문문에 대한 다른 해석 방안들 2: LF-이동을 가정하지 않는 의문사의문문 해석
9.11. 마무리
제10장 한국어 접속문의 의미 해석
10.1. 조건 접속문: ‘-으면, -어야, -거든, -었더라면, -었던들’
10.2. 양보 접속문: ‘-어도, -더라도, -을지라도, -을망정, -을지언정,
-기로서니, -은들’
10.3. ‘-더-’ 계통 연결어미를 가지는 접속문들
10.4. ‘-길래’ 접속문
10.5. 접속문 의미 해석 마무리
제11장 한국어의 시간 의미 해석
11.1. 한국어 시제 논의의 전제
11.2. 시제 가설 비판
11.3. 무시제 가설 하에서의 시간 해석
11.4. 시간 해석의 담화화용론
11.5. 덧풀이 1: ‘-느-’ 분석론과 ‘있다’, ‘없다’의 문제
11.6. 덧풀이 2: ‘-더-’는 통사 단위가 아니다
11.7. 마무리
제12장 담화화용론과 담화 표상
12.1. 담화화용론적 추론규칙들
12.2. 맥락, 공유배경과 담화 의미의 표상
12.3. 담화의 적격성 조건
12.4. 마무리
제13장 결론: 합성성 원리를 구현하는 원리와 규칙들
13.1. 이 책의 요약
13.2. 합성성 원리를 구현하는 의미 해석 규칙들의 체계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