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들어가며
1.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변화의 개요
1.2 회계 투명성 강화를 위한 3단계 장치
1.3 내부회계관리제도 실효성 제고를 위한 3대 방안
1.4 국내 기업들의 이해와 대비 수준
1.5 내부통제 실패 사례를 통한 시사점
1.6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도입
02 내부회계관리제도 개요
2.1 본 서적의 목적 및 한계
2.2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법률
2.3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성체계
2.4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목적
2.5 COSO 보고서
2.6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책임
2.7 외감법 규정 준수에 따른 준비사항
2.8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 흐름
03 Scoping(대상범위 선정)
3.1 Scoping의 목적
3.2 Scoping의 시기
3.3 Scoping의 수행 주체
3.4 Scoping의 방법론
04 전사수준통제 (Entity-level Control)
4.1 개요
4.2 전사수준 통제활동의 속성구분
4.3 전사수준통제에 의존하기
4.4 내부통제 구성요소(COSO components)
4.5 전사수준통제 구축 흐름
4.6 전사수준 통제평가서(ELCA, Entity Level Control Assessment)
4.7 MRCs(Management Review Controls)
4.8 IPE(Information produced by Entity)
4.9 성과와 보상체계 연결
4.10 전사수준통제의 평가
05 업무수준통제(Process-level Control)
5.1 개요
5.2 통제범주(Control Category)
5.3 통제절차의 문서화
5.4 업무수준통제 구축 흐름
5.5 SOC(Service Organization Control) 보고서
5.6 경영진 측 전문가 활용
5.7 IT 내부통제
06 유효성 평가 및 개선사항
6.1 평가수행자
6.2 평가시기
6.3 설계 및 운영 효과성 평가
6.4 미비점
6.5 예외사항 및 미비점 평가절차
6.6 예외사항 평가 및 미비점 분류의 구체적 적용
07 보고(Reporting)
7.1 내부회계실무자의 보고서
7.2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운영실태보고서
7.3 감사(감사위원회)의 평가보고서
08 부정위험과 포렌식
8.1 내부회계관리제도와 부정위험
8.2 부정위험의 종류
8.3 부정한 재무보고(fraudulent financial reporting)
8.4 자산보호(Asset misappropriation, Safeguarding of asset)
8.5 부패(Corruption)
8.6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부정위험 실무
8.7 회계부정 조사(Forensics, 포렌식)
8.8 금융위원회의 회계부정 조사 가이드라인
8.9 회계부정 조사 실무
09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9.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감사(감사기준서 1100)
9.2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절차와 감사조서
10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10.1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대상
10.2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이해
10.3 통제단위(혹은 부문)
10.4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
10.5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의 특수한 문제
11 중소기업 내부회계관리제도
11.1 중소기업
11.2 중소기업을 위한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
11.3 중소기업을 위한 평가 및 보고 기준
부록 1. 상장회사 내부회계관리규정 표준예시
부록 2.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운영 개념체계와 COSO보고서(internal control-Integrated framework) 비교표
부록 3. A Framework for Evaluating Control Exceptions and Deficiencies
부록 A.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
부록 B.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적용기법
부록 C.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및 보고 기준
부록 D.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및 보고 가이드라인
부록 E.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ㆍ보고 대상범위 선정(Scoping)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