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추천사
01 아카이브란 무엇인가?
1. 유행처럼 다가오는 아카이브
2. 기록은 기회를 제공한다
3. 아카이브의 가치
4. 내용, 구조 그리고 맥락
5. 기록은 무조건 공개해야 하는가
6. 다양한 기록관리 분야
02 일상의 소중함을 기록으로
1. 일상 기록의 의미
2. 무엇을 기록할 것인가?
3. 가치 있는 기록을 향한 첫걸음
4. 기록의 품질을 높이는 ‘4대 속성’
5. 변화하는 일상, 진화하는 기록
03 일상 기록의 생산과 활용
1. 기록은 어떻게 모으는가?
2. 정리와 분류 그리고 기술
3. 기록을 오래 간직하기 위하여
4. 공유와 활용
5. 일상 아카이빙의 중요성
04 사라져가는 기억을 기록으로
1. 교훈 없는 삶은 없다
2. 구술 채록의 유래와 최근 동향
3.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
4. 좋은 인터뷰를 위한 몇 가지 제언
5. 인상적인 구술 채록 사례
05 공동체의 가치를 높여주는 아카이브
1. 마을과 마을 아카이브
2. 꿈은 이루어진다
3. 마을의 꿈은 오늘도 현재 진행형
4. 도시재생과 문화도시 아카이빙
5. 민간기록관리기관 협의체의 필요성
6. 민간 아카이빙의 활성화를 위하여
06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1.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실록과 의궤
2. 기록문화의 단절
3. 기록관리 관련 법률의 탄생과 변천
4. 기록관, 특수기록관, 영구기록물관리기관
5. 기록관리의 제도화가 갖는 의미
6. 우리나라 기록관리의 현재와 미래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