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교육적 이상으로서의 ‘성균(成均)’-박소정
1. ‘성균’이라는 말은 어디에서 왔을까?
2. 유교의 교육적 이상 ‘성균’: 우연한 선택일까? 의도된 우연일까?
3. 유교적 가치에 대한 점진적 혁신으로서의 ‘성균’
4. 한국 지성사에서 살아남은 교육적 이상, ‘성균’
5. 오늘날 ‘성균’이 요구하는 리더: 조율하는 인격
성균관(成均館)의 특성: 중국 국자감(國子監)과의 비교-하원수
1. 들어가며
2. 고려시대 성균관의 출현
3. 조선시대 성균관의 운용
4. 나가며
고려, 성균의 인재를 양성하다-박재우
1. 성균이라 이름 짓다
2. 성균의 이념을 지향하다
3. 유학 인재를 양성하다
4. 과거 시험에 혜택을 주다
조선 성균관의 교육과 문화-장재천
1. 들어가며
2. 성균관의 역할
3. 성균관의 교육
4. 성균관의 문화
5. 나오며
반촌(泮村)과 반촌 사람들-안대회
1. 조선시대 한양의 특수구역 반촌
2. 반인의 성격과 거주의 제한
3. 반인의 성균관 업무
4. 반주인(泮主人)의 세계
5. 반촌은 지방 출신 유생과 관료의 서울 거점
6. 근대 이후의 반촌과 반인
반인(泮人)의 인간 기질과 그 양상-진재교
1. 반촌과 반인
2. 반인 기질의 두 방향
3. 반인 의식(泮人意識)과 인간 기질의 양상
4. 맺음말
성균관의 역사인가 아닌가?-식민지 시기의 성균관-이용범
1. 친일이라는 아포리아
2. 성균관에서 경학원(經學院)으로
3. ‘만들어진 전통들’
4. 명륜학원의 설치
5. 반궁(泮宮)에 모여들었던 사람들
6. 친일과 반일이 아닌 길을 향하여
목숨을 걸고 국내에 잠입하다: 김창숙의 지하운동-임경석
1. 밀입국
2. 결사입국의 뜻
3. 독립자금 모금 운동
4. 파리장서 네트워크의 활용
5. 최후의 일책
6. 재망명
우관(又觀) 이정규(李丁奎), 김창숙과 함께 성균관대를 키우다-오제연
1.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우관 이정규
2. 독립운동으로 맺은 김창숙과 이정규의 인연
3. 김창숙의 성균관대 중건과 이정규의 참여
4. 성균관대 초기 이정규의 활동
5. 이정규 부총장 해임
6. 성균관대의 유교 이념과 정체성
산강(山康) 변영만(卞榮晩), 성균관이 배출한 예언자적 지성-한영규
1. 명륜전문학교의 교장, 초창기 성균관대학의 교수
2. 근대 문필가 변영만의 새로운 글쓰기
3. 근대 너머를 모색한 예언자적 지성
도남(陶南) 조윤제(趙潤濟)와 성균관대학교-김용태
1. 들어가며
2. 성균관대 재직 시절의 도남
3. 성균관대학교의 한국학 전통과 도남
4. 나가며
방은(放隱) 성낙훈(成樂熏)의 한학(漢學)과 한국당쟁사 기술-이영호
1. 머리말
2. 방은 선생의 풍모
3. 「한국당쟁사」의 학술적 의의
4. 맺음말
임창순(任昌淳)의 한국서예사 연구; 실천적 삶의 여정에서-손병규
1. 머리말; 삶의 여정에서 ‘학문’
2. 임창순의 ‘한국서예사’ 서술
3. ‘한국서예사’에 대한 역사 인식
4. 글씨의 실용성과 예술성
5. 맺음말; 삶의 여정에서 ‘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