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인간과 가치의 본질 제1장 현대의 인간관 서론 1.1 인간에 관한 진화론적 사실 1.2 언어의 발달과 지능 그리고 의식의 탄생 1.3 음성언어와 문자 언어에 의한 정신의 현상학 1.4 영혼 혹은 정신의 탄생 1.5 인간의 인식능력 1.6 쾌고와 정서 1.7 감정의 양태들 1.8 인간의 사회성 제2장 가치의 현상과 인식 2.1 가치의 본질 2.2 가치의 인식 2.3 두 가지 인식론적 편견 2.4 가치사고와 과학적 사고 제3장 가치론의 역사 3.1 고대 : 가치와 존재의 불가분리 3.2 근대 : 가치와 실재의 분리 3.3 현대 : 가치와 실제의 동등화 제4장 가치의 분류 4.1 가치존재의 실질적 분류 4.2 존재가치의 인식론적인 형식적 분류 제5장 가치의 실현 5.1 삶의 의의 5.2 문화의 의미 제2편 미학과 예술 서론 제1장 미학과 예술의 의미 1 1 예술 활동 : 기예의 의미 제2장 고대의 미와 예술론 2.1 플라톤의 미론과 예술론 2.2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과 비극 2.3 플로티누스의 신비적 낭만주의 제3장 중세의 예술철학 3.1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 3.2 르네상 ... 제1편 인간과 가치의 본질 제1장 현대의 인간관 서론 1.1 인간에 관한 진화론적 사실 1.2 언어의 발달과 지능 그리고 의식의 탄생 1.3 음성언어와 문자 언어에 의한 정신의 현상학 1.4 영혼 혹은 정신의 탄생 1.5 인간의 인식능력 1.6 쾌고와 정서 1.7 감정의 양태들 1.8 인간의 사회성 제2장 가치의 현상과 인식 2.1 가치의 본질 2.2 가치의 인식 2.3 두 가지 인식론적 편견 2.4 가치사고와 과학적 사고 제3장 가치론의 역사 3.1 고대 : 가치와 존재의 불가분리 3.2 근대 : 가치와 실재의 분리 3.3 현대 : 가치와 실제의 동등화 제4장 가치의 분류 4.1 가치존재의 실질적 분류 4.2 존재가치의 인식론적인 형식적 분류 제5장 가치의 실현 5.1 삶의 의의 5.2 문화의 의미 제2편 미학과 예술 서론 제1장 미학과 예술의 의미 1 1 예술 활동 : 기예의 의미 제2장 고대의 미와 예술론 2.1 플라톤의 미론과 예술론 2.2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과 비극 2.3 플로티누스의 신비적 낭만주의 제3장 중세의 예술철학 3.1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 3.2 르네상스와 바로크 운동 제4장 근대미학의 성립 4.1 바움가르텐 4.2 예술과 천재 제5장 Ⅰ. 칸트의 미학 5.1 취미판단 5.2 순수예술의 이율배반 5.3 이율배반의 해결 5.4 예술과 창조 5.5 예술의 본질 제6장 감정의 미학 6.1 낭만주의 6.2 상상력의 새 이론들 6.3 감정과 의미 6.4 예술과 낭만 그리고 아이러니 제7장 예술과 사회 7.1 예술을 위한 예술 7.2 사실주의 7.3 예술적 진리 7.4 사회적 책임 제8장 H.베르그송의 예술철학 8.1 직관과 사유의 변증법 8.2 언어와 이미지 그리고 리듬 8.3 희극론 제9장 미의 유형 9.1 순수미 9.2 우아미 9.3 숭고미와 장엄미 9.4 비극적인 것 비극미 9.5 희극적인 것 희극미 9.6 추미 9.7 한국미의 유형 제10장 현대의 에술과 미적 가치의 체험 부록 - 언어란 무엇인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