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16
제1강
세계의 산림현황
1-1 누가 산림자원을 조사하는가 5
1-2 왜 근래 산림조사를 하는가 6
1-3 숲의 정의 7
1-4 기후대와 산림의 관계 9
1-5 갱신방법으로 본 산림의 종류 13
1-6 숲이 많은 곳은 어딘가 14
제2강
열대림 감소의 메카니즘
2-1 FRA 2010으로 보는 세계 산림면적 17
2-2 세계 산림면적의 변화 18
2-3 1인당 산림면적의 연평균 변화 20
2-4 U자형 가설과 산림 감소의 메커니즘 21
제3강
일본의 산림소유 형성
3-1 산림의 소유 26
3-2 지조개정(地租改正) 29
3-3 산림원야의 관민유 구분 30
3-4 대장면적과 실측면적의 괴리 32
3-5 국유림, 민유림, 공유림 34
제4강
메이지 이후 일본 경제와 산림
4-1 경제발전에 따른 시기구분: 제2차 세계대전 이전 37
4-2 경제발전에 따른 시기구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38
4-3 경제발전에 의한 시기구분: [잃어버린 20년] 39
4-4 인구성장에 따른 시기구분 40
4-5 시기구분으로 보는 산림정책: 제2차 세계대전 이전 41
4-6 시기구분으로 보는 산림정책: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4
제5강
일본의 목재수요
5-1 목재수요: 원목환산, 용도별 수요 49
5-2 목재수요 추이 53
5-3 보통재, 필수재, 열등재, 사치재 55
5-4 펄프와 신탄재 57
5-5 제재품과 합판 60
5-6 저성장기의 구조 변화 63
제6강
일본의 목재공급
6-1 외재(外材)에 의한 수요 흡수 64
6-2 국산재와 외재의 공급곡선 66
6-3 소국의 가정: 블랜든 이론 68
6-4 국산재 공급의 비탄력성: 유쿠타케 이론 69
6-5 장기변화에 대한 이해 71
제7강
시장경제 시스템과 효율성
7-1 생산자와 소비자로부터 형성되는 경제시스템 73
7-2 봉건경제 시스템의 거래 75
7-3 양심적인 독재자가 결정하는 시스템의 거래 75
7-4 시장경제 메커니즘(완전경쟁시장)의 거래 76
7-5 경제시스템 차이의 결과를 어떻게 평가할까 78
7-6 파레토 개선ㆍ 파레토 효율성 79
제8강
시장과 사회후생
8-1 파레토 최적 82
8-2 생산, 비용, 공급 84
8-3 소비, 효용, 수요 86
8-4 생산자 잉여와 소비자 잉여 88
제9강
산림의 다면적 기능과 경제평가
9-1 산림의 다면적 기능 91
9-2 산림의 기능을 경제적으로 평가하는 것 91
9-3 여행비용법 92
9-4 헤도닉법 96
9-5 가상가치법 96
9-6 대체법 97
9-7 화폐가치 평가의 의미 98
제10강
공공재 공급의 최적 조건
10-1 시장의 실패와 공공재 99
10-2 공공재 이외의 시장의 실패 101
10-3 이시점 평가 102
10-4 비용ㆍ편익분석 104
10-5 공공재의 사회적 최적 공급량 106
제11강
코즈의 정리와 산림법제
11-1 코즈의 정리 108
11-2 시장의 실패, 코즈의 정리, 법의 역할 111
11-3 임정에서 근대 법 제도의 변천 112
11-4 법률의 단계구조와 보안림제도 114
마치며
주요 참고문헌 119
인용문헌 125
[부록 1] 산림ㆍ임업 참여자 127
[부록 2] 임정학 정보 활용법 129
[부록 3] 주요사항연표 135
색인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