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니체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1. 니체, 그는 누구인가? 15
2. 왜 음악 정신인가? 19
II
쇼펜하우어, 바그너 그리고 니체의 만남
1. 쇼펜하우어의 음악미학 27
1.1. 쇼펜하우어, 그는 누구인가? 27
1.2.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적 세계관 30
1.3. 쇼펜하우어의 의지 형이상학 34
2. 바그너의 음악극 40
2.1. 바그너, 그는 누구인가? 40
2.2. 바그너의 낭만주의적 세계관 43
2.3. 바그너의 종합예술작품론 48
Ⅲ
키타라와 아울로스에 담긴 비극적 사유
1. 음악의 어원 59
1.1. 무지케와 테크네 60
1.2. 미메시스와 포이에시스 61
2. 키타라 음악과 아울로스 음악 65
2.1. 키타라의 음악적 기원과 특징 68
2.2. 아울로스의 음악적 기원과 특징 73
3. 고대 그리스 음악의 유래와 특징 78
3.1. 서사시, 서정시 그리고 극시 78
3.2. 디티람보스와 비극 83
Ⅳ
그리스 비극에서 풀어낸 니체의 세계이해
1. 고대 그리스 비극의 세계 93
1.1. 고대 그리스인들의 명랑성 94
1.2. 그리스 비극의 형식과 내용 97
2.「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 나타난 고통 102
2.1.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102
2.2. 프로메테우스의 고통의 능동성 104
2.3. 프로메테우스의 전형과 모범 111
3.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운명 116
3.1. 소포클레스의 비극 116
3.2. 오이디푸스의 운명의 수동성 117
3.3. 오이디푸스의 전형과 모범 129
4. 「메데이아」에 나타난 의식적 선택 133
4.1.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133
4.2. 메데이아의 선택 134
4.3. 메데이아의 전형과 모범 140
5.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대립과 화해 145
5.1.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대립 145
5.2.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화해 150
6. 니체의 비극「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57
6.1. 차라투스트라는 누구인가? 160
6.2. 차라투스트라의 가르침, 영원회귀 162
6.3. 차라투스트라의 새로운 인간상, 위버멘쉬 165
Ⅴ
나가는 말
나가는 말 175
참고문헌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