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종교와 철학의 관점에서 본 생사관
한국인의 죽음관-내세관의 형성을 중심으로__최준식
유가 생사관의 형성과 전개__이수진·양회석
불교의 생사관__이중표
도가 생사관의 형성과 전개__양회석
유교의 생사관__이종욱·엄영욱
고대 그리스인의 생사관__최혜영
제2부 문물과 문자에 담겨진 생사 관념
횡혈식 무덤을 통해 본 고대인의 생사관__임영진
초기철기시대 매장시설의 침향(枕向) 선정__조진선
고대자형으로 본 고대 중국인의 생사관념__김태완
동파문자에 담겨진 납서족의 생사관__설영화·김태완
제3부 신화와 민속에 나타난 생사 인식
생사관으로 본 진도의 민속__나경수
한·일 장례절차 간소화에 따른 죽음관의 변화 비교__조아라·김용의
신화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생사관__진영아·양회석
일본의 해양타계관(海洋他界觀)-‘우라시마타로’를 중심으로-__최가진·김용의
제4부 시가 장르를 통해서 본 죽음 의식
민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생사관__이옥희·나경수
중국 현대시인 하이즈 시의 죽음 의식__엄영욱
나시족의 순정(殉情)문화와 순정 서사__이주노·김봄이
묘족 애정서사시 속의 애정과 혼인 그리고 죽음__임선희·류창진
제5부 서사 장르에 드러난 생사관 양상
한·일 기로(棄老) 설화의 비교__김용의
중국 돈황문학에 나타난 천상과 천신__장춘석
근세일본인의 사생관 -‘소네자키 신주’를 중심으로-__박미림·김정례
고칸(合卷)의 웃음에 의한 죽음의 무화(無化)__강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