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비가 내리고 형과 동행하는 여행…….
넓고 깊게 서로의 가치가 어우러지는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청소년을 위한 「문학동네 청소년」 제17권 『그치지 않는 비』. 영화 블로거로 활동 중인 소설가 오문세의 첫 번째 장편소설이다. 청소년들의 고민과 현실을 파고들며 문학이 해야 할 일을 고민해온 제3회 문학동네 청소년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아직 수염조차 나지 않아 열다섯 살로 보이는 열아홉 살 소년 '나'가 번듯하고 쿨한 여행을 다짐하고 집을 떠나면서부터 이야기가 펼쳐진다.
"여행을 하자."라는 형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나'는 짐을 꾸린다. 아버지는 오늘도 집에 오지 않았다. '나'는 언젠가는 쓰게 될 날을 기약하며 형의 면도기를 가방에 고이 모셔 둔 채 뚜렷한 목적지도 없이 여행을 떠났다. 여행에서 첫 번째로 하고 싶은 것은 낯선 곳으로 가는 것이었다. 어린 시절 책상에 그어 놓은 금으로 넘어오는 서로의 물건을 차지하며 유치한 우정을 쌓은 19번과도 만나고 싶다. 우습게도 여행을 떠난 순간부터 나의 머리 위에는 언제나 비가 내리는데…….
수상내역
- 제3회 문학동네 청소년문학상 대상제3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작
우리 청소년소설이 잃어버린 그 무엇을 간직한 소설
우리 청소년문학과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이야기, 청소년들의 고민과 현실을 파고들며 문학이 할 일을 고민해 온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이 3회를 맞았다. 가족해체의 시대에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사는 어느 불량 가족의 기구한 사연을 옹골찬 입담으로 풀어낸 『불량 가족 레시피』, 개성 넘치는 세 소년의 모험과 내적 성장을 굵은 붓질로 그린 『검은개들의 왕』에 이어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을 받은 『그치지 않는 비』는 오랜 문학적 수련을 가늠케 하는 단단한 문장과 안정된 호흡으로 이전 수상작과는 또 다른 독서체험을 선사한다.
열아홉이지만 아직 수염이 나지 않은 주인공 ‘나’는 어디까지나 번듯하고 쿨한, 가출이 아닌 여행을 다짐한다. 그러나 첫발을 떼기도 전에 어리숙하게 가방이 털리고, 열다섯으로 보이는 외모 때문에 할아버지부터 동갑내기에게까지 의혹의 눈길과 질문공세에 시달리고, 수상한 녀석으로 몰리는 수모를 겪는다. 그래도 언젠가는 쓰게 될 날을 기약하며 형이 쓰던 면도기를 가방 한쪽에 고이 모셔 둔 채 여행을 계속한다. 무언가에 붙잡히지 않기 위해 나아가는 길, ‘괴물들이 설치고 다니는 터프한’ 길 위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불에 덴 것 같은 그리움과 꽁꽁 묶어둔 가슴속 말들과 차마 말하지 못한 그날의 비밀을 간직한 나와 어느 한 접점을 맞대고 있다. 나의 벌어진 상처에서 작게 흐느끼던 독주는 사람들과 어우러지며 울림 깊은 심포니가 되고, 그 화음은 쏟아지는 빗속에서의 마지막 장면과 함께, 단단하게 뭉쳐 있던 독자의 가슴을 위로의 팔로 끌어안는다. 이것이 이 소설이 지닌, 한 소년의 여행이라는 자칫 특별할 것 없어 보이는 이 소설에 반하게 하는 가장 큰 힘이다.
소설이라는 이름에 값하려면, 인간의 내면이라는 저 우주가 소설의 무한한 광맥이라는 사실을 비장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한 사람의 마음을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이 세계 전체를 이해하는 일만큼이나 어렵다. 그러나 그 불가능한 가능성에 헌신하는 것이 소설가들 아닌가. 그리고 바로 이것이, 인물들이 장기판의 말처럼 도구화되어 소비되는 이야기들이 넘쳐 나는 세상에서, 소설이 존재할 가치가 있는 까닭이 아닌가. 한 사람의 마음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이 작가가 보여 준 성의는 내 마음을 움직였다._신형철(문학평론가)
작가의 문학적 기량이 오랜 수련 끝에 나온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꽉 짜인 구성, 매우 단정하고 안정된 문체, 결말의 반전이 나무랄 데가 없고, 따뜻한 감동이 묻어났다._안도현(시인)
길을 걷는 사람이라면 언제든지 비가 올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어야 해
혹한기의 몸살을 앓고 있는 이들을 다독이는 위로의 언어
“여행을 떠나자.”
형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열아홉의 나는 짐을 꾸린다. 고등학교는 자퇴했고, 아버지는 언제 들어올지 알 수 없는 데다 부서져 나간 세간을 정리하고 몇 안 되는 가재도구들만 지키는 집에는 미련이 없다. 부서진 세계와도 같은 집을 뒤로하고 나선 길. 낭만과는 거리가 멀 것 같은 여행을, 나는 뚜렷한 목적지도 기약도 없이 시작한다. 여행에서 첫 번째로 하고 싶은 것은 낯선 곳으로 가는 것. 그리고 백지 같은 일정표를 채우고 있는 것은, 어린 시절 책상에 그어 놓은 금으로 넘어오는 서로의 물건들을 차지하며 유치한 우정을 쌓았던 19번과의 만남뿐이다. 우습게도 여행을 떠난 순간부터 나의 머리 위에는 언제나 비가 내린다. 내가 비를 몰고 다니기라도 하듯 사방이 비다. 비와 더불어 줄곧 나의 동반자로 함께하는 것은 형이다. 잊을 만하면 현실적인 조언과 시답잖은 농담을 던지는 형은 어딘가 기묘하고 의문스러운 구석이 있다.
이제 나의 발길이 닿는 곳은 학교와 집이 아니다. 쪽잠을 청하는 대합실, 비를 피하기 위해 들어간 패스트푸드점, 교회 뒤에 쑤셔 박힌 컨테이너, 핑크빛 앞치마를 두른 젊은 남자가 지키는 카페, 기차 찻간 같은 곳에서 삶의 진실들을 한 조각씩 품은 이들이 거기 서 있다. 커트 코베인처럼 한순간에 불타 없어지기를 꿈꾸는, 전직 의사 출신의 뮤지션, 화석을 찾아 헤매는 폐소공포증을 앓는 남자, 케세라세라라는 문구를 명함에 박아 넣은 목사, 크리스마스 선물이라곤 엉키는 놈들을 패 버리라고 아버지가 건네준 야구배트밖에 기억나지 않는 나에게 뜻밖의 선물을 건네는 미세스 산타클로스……. 환영처럼 느껴지기도 하는 그들은 엉뚱한 수수께끼 문제처럼 괴물들이 설치고 다니는 터프한 나라 어디쯤에서 이 시니컬한 여행자를 마중하고 배웅한다.
“너 빠따 있냐.”
반대편 자기 자리로 돌아가 창가에 기대는 여자에게 말을 건다.
“빠따?”
“그래, 빠따. 야구할 때 쓰는 거 있잖아.”
“그건 왜?”
“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