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환경의식과 환경운동의 사회학
제Ⅰ장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의 사회적 기반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과 연구 쟁점
3. 조사 방법과 분석의 결과
3. 환경행동의 사회적 기반에 대한 회귀분석
4. 토의
제Ⅱ장 핵발전소 주변 주민의 환경의식과 행동
1. 머리말
2. 기존 논의에 대한 검토
3. 월성 및 고리 핵발전소 주변 주민의 환경의식, 반핵의식, 그리고 반핵행동
4. 맺음말
제Ⅲ장 반핵운동을 둘러싼 시민의식과 참여도
1. 원전 유치를 둘러썬 여러 집단들의 반응
2. 원전주변 거주 시민의 특성
3. 울산시민의 거주지별 원전에 대한 의식
4. 원전주변 시민의 환경운동 의식 및 참여도
5. 요약과 함의
제Ⅳ장 정보화 시대의 환경문제와 환경운동
1. 머리말
2. 정보화 흐름의 환경문제에 대한 긍정적 측면
3. 정보화 흐름의 환경문제에 대한 부정적 측면
4. 정보화 시대 환경운동의 전망
5.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통제방안
제2부 공업도시의 환경피해와 환경부정의
제Ⅴ장 울산공단 환경문제의 구조와 전망
1. 머리말
2. 울산공단 환경악화의 원인
3. 울산공단 환경악화의 사회적 결과
4.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전망
제Ⅵ장 공단조성과 환경오염지역 이주사업이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
1. 머리말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온산공단의 조성과 환경오염지역 이주사업의 경과
4. 주민생활의 변화
5. 맺음말
제Ⅶ장 공단주변 주민의 환경태도와 환경운도
1. 문제의 제기
2. 공단주변 환경악화와 초기 이주과정
3. 공단주변 주민의 환경을 둘러싼 태도
4. 공단주변 이주요구 운동의 특성
5. 맺음말
제3부 환경정의의 새로운 차원
제Ⅷ장 생태적 자활을 위한 시론적 구상
1. "지구의 화"에 맞서기 위한 출발
2. "지구적 지구"전략의 원칙
3. 생태적 자활의 요소-"생태 지역"과 "자활 공동체"
4. 실행 가능한 생태적 자활 모델을 위하여
제Ⅸ장 자본의 힘에 맞서는 생태적 대안
1. 머리말
2. 연구 방법
3. 조사 결과
4. 간략한 토의
제Ⅹ장 환경 갈등의 해결을 위한 환경 가버넌스 형성과 숙의 민주주의의 시도
1. 머리말
2. 개념적 검토
3. 환경 갈등의 초점
4. 시민 배심원 제도 도입을 통한 환경 가버넌스의 형성
5. 숙의 민주주의의 지형과 과정
6.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