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영화는 현실을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가 - <티켓>에서 리얼리즘을 체험하다 -
1.1 살아있는 체험으로서의 영화 현실
1.2 리얼리즘 영화의 인물 묘사
1.3 리얼리즘 영화의 공간 활용
1.4 문화와 토대의 관계
1.5 리얼리즘의 여러 얼굴
2 영화다운 영화란 무엇인가 - <오! 수정>을 작가 영화로 보다
2.1 작가 영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2.2 스타일로서의 작가성
2.3 작가가 바라보는 시선
2.4 장면 구성에 따른 작가성의 발현
2.5 알레고리로서의 영화적 사건
3 영화는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가
3.1 기호적 체계로서의 영화
3.2 영화로서만 의미 있는 요소들
3.3 기호적 내러티브의 창출
3.4 기호적 수사학
3.5 기호로서 캐릭터 만들기
4 우리는 왜 영화를 보는가 - <하녀>를 정신 분석학으로 해부하다 -
4.1 억압된 욕망의 발현
4.2 결핍된 인물 또는 타자로서의 존재
4.3 전이된 인물로서의 캐릭터
4.4 공간 분류의 상징화
4.5 꿈 형식의 서사적 활용
5 무엇을 위하여 영화를 만드는가 - <초록물고기>를 이데올로기 비판적으로 해석하다 -
5.1 이데올로기로서의 영화
5.2 몽타주와 미장센을 매개하는 "경제"의 논리
5.3 영웅·반영웅의 변증법적 양상
5.4 성장과 소외
5.5 안으로부터의 전복 : 주류적 대안
6 영화를 본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 <파란대문>을 인주주의 / 현대장르 이론으로 열어보다 -
6.1 영화 : 관객이 동참하는 퍼즐 게임
6.2 서사의 빈 칸 채워 넣기
6.3 장르의 새로움
6.4 일상 속의 신화
6.5 영화 읽기는 여전히 미완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