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극운동론
우리 신극운동의 첫 길
극예술운동과 문화적 사명
조선은 어디로 가나 - 극단
연극계의 장래를 위하여
사회 전체가 협동하여 이 문제를 환기시켜야
흥행극의 정화는 막간물의 폐지로
연극운동의 과거와 극단의 위기
Ⅱ. 실무적 연극론
무대예술과 배우
연출법에 대하여
연출론에 대하여
세계 각국에 있어서의 신극수립운동 일잠
명연출가 순례(1) ; 스타니슬라브스키
명연출가 순례(2) ; 막스 라인하르트
명연출가 순례(3) ; 고든 크레이그
명연출가 순례(4) ; 메이어홀드
국민연극과 배우
Ⅲ. 희곡론 및 해외연극론
희극론
근대 희곡에 나타난 기계
현상모집 희곡 선후언 ; 남궁만씨 작 <데릴사 위>에 대하여
연출자로서 본 고골리와 <검찰관>
명희곡의 추억(1) ; 안톤 체홉의 <앵화원>을 더듬어
명희곡의 추억(2) ; 셰익스피어 작 <말괄량이 길들이기> 전편
명희곡의 추억(2) ; 셰익스피어 작 <말괄량이 길들이기> 후편
<인형의 가>의 해설
국립극장 환도기념 공연 <신앙과 고향>의 연출 의도
연전 학생회 극연구부 제1회 공연 상연목록 <어 둠의 힘>에 대하여
이전 학생청년회 제2회 공연 상연목록 <페트루 키오와 카트리나> 연출에 대하여
세전 "분극의 밤"을 평함
근화 학우회 제1회 연극제 레퍼터리에 대하여
여기청 공연을 앞두고 - 극본 <유령>에 대하여
1932년도의 세계 극단의 전망
중국 극예술의 연구
그린 날 밤의 모스크바 예술좌
여우 사라 베르날
Ⅳ. 연극사론 및 기타
한국연극약사
초창기의 학생극운동약사
최후의 대화와 회상 - 고 윤백남 선배를 추모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