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제1장] 음악의 인식
음악을 보는 시각
음악과 약속
음악과 직업
음악과 청소년
음악과목
통일음악회
귀국연주회
전통가요란 뽕짝
포스트 모더니즘
현대음악(1)
현대음악(2)
음악교육의 목표
음악시간
음악의 특징
음악과 음계
음악의 표현수단
음악학원
민족음악
서구형 한국가곡
락음(樂音)과 악음(惡音)
음악회의 팜플렛
피아노교육
생각해 보는 예술의 방향
음악비평
지휘자
민족음악교육
창작과 연주
대중음악문화.
대구음악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인류학과 종족음악학과의 관계
신임 대구예총회장에게 바라는 글
음악의 구성요소
인간생활과 음악연구
음악가적인 삶.
대구음협을 통해 본 발전방향 모색
대구MBC-FM 창사특집기념 방송:또 한 송이 나의 모란.
음악이란 무엇인가?..
가르침이란 무엇인가?
음악지도의 구성요소
전통가요와 일본음계
문화마당.
대구근현대음악사의 발자취
서양음악교육의 역사적 배경
슈바르트와 슈베르트 그리고 숭어와 “송어”
대구지역 음악공연장의 역사적 흐름
CBS방송국 민속음악 기행
20세기 대구음악계의 성과
월드컵과 새 문화창조
애국가의 올바른 이해
[제2장] 음악비평
내가 읽은 한 권의 책/송방송의 <韓國音樂學序說>
한국음악사연구의 또 다른 결실/한양대국악과의 <韓國音樂散考>
한국음악사학의 새로운 연구방향/송방송의 <樂掌謄錄硏究>
한국음악사료의 번역작업에 대한 관건/권오성, 김세종의 <譯註蘭溪先生遺藁>
한국노래연구의 새 지평을 연 결실/박찬호의 <한국가요사:1895-1945>.
판소리사연구의 귀중한 음반사료/신나라레코드사의 <춘향전>.
중등학교 국악교육에 필수적인 음반자료/정은하의 <정은하민요집1>
현대음악기법에 의한 한국적 정서의 새 창작품/임주섭의 A Collection of Contemporary Masterworks.
기대되는 우리국악회의 창단 및 창단연주회
영남오페라단 제10회 정기공연의 향방
제2회 패시픽현대음악제
제15회 전국관악제
능금 향기 그윽한 한 마당 축제
밤하늘 아래 펼쳐진 환상적인 오페라 무대
대구음악사 출간 인터뷰
민족의 노래 “아리랑”
월드컵과 아우러진 전통음악의 향연
독창회를 통한 대구성악가의 활동내용
사진으로 살펴본 서양음악의 전개과정
독일가곡(Lied)의 씨앗을 뿌린 음악가.
[제3장] 전통음악의 이해
한국음악사학회를 조명한다
전통음악의 특징
국악교육
새로운 국악교육의 필요성
중학교의 국악교육 실제
전통음악의 새로운 이해
전통음악의 큰 흐름
전통음악교육의 현실적 상황과 과제
전통가곡의 생성과 성장과정
영남가객 한유신(韓維信)
전통음악의 감상곡
영남 여류명창의 유성기음반
<조선왕조실록>해제.
달성권번의 음악사학적 조명.
[제4장] 부록
일본음악의 음계와 선법, 고이쯔미 후미오(小泉文夫)
손용찬의 음악편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