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요채집을 위한 기기 사용론
1. 머리말
2. 녹음기
3. 사진기
4. 기기의 관리
5. 기기의 구입
6. 현장 접근 방법
7. 끝말
참고문헌
The theory of machinery"s use in the fieldwork for folkmusic
수재천의 선율구조
참고문헌
The Melodic Structure of Sujech"on based on the Melodic Line of the P"in
장단의 논리에서 적용으로
[Ⅰ]
[Ⅱ]
참고문헌
From the Theory to Applications of Changdan
경상도쪼 민요의 통시성과 토속성
1. 민요 기록의 의의
2. 경상도의 들노래
3. 명백한 경상도쪼
4. 이해의 순환을 위하여
참고문헌
Folk etymology of kyungsang cho-folksongs
경북지방 전승동요의 연구
1. MBC 민요기록의 의의
2. 놀이: 방아깨비소리
3. 자장가/새는새는
4. 하늘로/별헤는소리
5. 잘개질 글
참고문헌
The Study of Traditional nursery rhymes on Kyongbuk Province
동동의 구조
1. 열기
2. 불러오기
3. 미리보기
4. 음역ㆍ음고악센트
5. 끼어넣기
6. 얼러내는 소리
7. 변주구조
8. 동일성
9. 장고
10. 합주
11. 원전4도에 대하여
12. 저장하기
13. 닫기
참고문헌
The Structure of Dongdong
이성천의 평론에 투영된 내 작품양식의 재접근
1. 들어가기
2. 열어보기
3. 저장하기
4. 닫기
참고문헌
Retrial to discuss the style of my work reflected by Lee Sungchon"s criticism
산조의 미학적 구조론
1. 초장
2. 중장
3. 종장
참고문헌
The Aesthetic Structure of Sanjo
외래의 춤음악과 한국음악의 접근론
1. 글문 열기
2. 블루스
3. 라틴 아메리카의 춤과 음악
4. 룸바와 차차
5. 삼바
6. 파소 도블레
7. 플라멩코
8. 디스코
9. 탱고
10. 글문 닫기
참고문헌
A Discourse on the Imported Dance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한국의 상여소리 연구
1. 초혼제 - 머리글
2. 발인제 - 「저승으로 가는 노래 - 향두가」
3. 평토제 - 끝 글
참고문헌
The Song of Bier-Bearers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