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제1절 언어와 문화의 관계
제2절 방언과 언어의 관계
제3절 현대 중국의 언어와 방언
제4절 중국어 방언 분화의 역사적 배경
제5절 중국어 방언 연구사 개요
제1장 방언과 이민의 관계
제1절 이민의 특징과 방언의 변화 관계
제2절 이민 방식과 방언의 지리적 분포 유형
제3절 이민과 방언의 연원(淵源) 및 방언 지리의 형세
제4절 방언학과 이민사 연구
제5절 방언의 역사적 계층과 이민의 역사적 계층
제2장 방언 지리와 인문 지리
제1절 현대의 방언 구획과 역사 행정 지리
제2절 중국어 방언구분에 있어서의 역사 행정지리 분석법
제3절 권위 방언과 행정 중심지역 변경과의 관계
제4절 방언 지리와 교통 지리
제5절 방언 지리와 도시 지리 및 상업 지리
제3장 역대 방언 지리의 추정 및 그 문화적 배경
제1절 ≪시경≫ 시대 언어 구역의 추정
제2절 양한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3절 서진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4절 송대와 금대의 방언 구획 추정
제5절 명·청 시대 상해 지역의 방언 지리
제4장 언어 화석과 재배식물의 발전사
제1절 벼 재배의 역사와 전래
제2절 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제3절 완두콩/잠두콩
제4절 유자와 올방개
제5절 얼룩조릿대와 주악, 사탕수수와 사탕
제6절 차, 고추, 그리고 기타
제5장 지명으로 본 문화 내적 함의
제1절 지명과 역사 문화의 경관
제2절 지명과 이민
제3절 지명과 경제사
제4절 지명 및 역사 교통 지리
제5절 지명과 민족사
제6절 지명과 역사 민족 지리
제7절 지명의 계층과 문화의 계층
제6장 방언과 희곡 및 소설
제1절 방언과 희곡 연구
제2절 방언과 소설
제7장 방언과 민속
제1절 방언과 민요연구
제2절 방언과 지방 문화의 풍격
제8장 언어 접촉과 문화 교류
제1절 기층어휘와 기층문화
제2절 외래문화와 중국어의 외래어
제3절 차용어와 중국 문화의 서구 전파
제4절 역외 방언과 중국 문화의 대외 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