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고려대학교 건축사
1. 보성전문의 한옥교사와 양옥교사: 1905 - 34년
1) 수송동 전 러시아어학교의 한옥교사: 1905.4 - 1914.6
2) 수송동 목조 신축교사: 1914.10 - 1918.8
3) 낙원동 전 오성학교 벽돌조 교사: 1918.9 - 1922.8
4) 송현동 구 천도교 본부 목조 교사+벽돌조 교사: 1922.9 - 1934.9
2. 안암동 시대의 개막과 고대 석탑의 발흥: 1934 - 60년
1) 안암동 보성전문의 신교사 (1933 - 34)
2) 창립 30주년기념 도서관 (1935 - 37)
3) 대운동장 (1937 - 38)
4) 일제 말의 탄압과 해방, 그리고 고려대학교의 출범 (1946.8.15)
5) 한국전쟁하의 대구 임시 교사와 귀경 후 중앙고등학교에서의 더부살이
6) 서관 건축(1954 - 55; 1959 - 61)과 석탑 삼부구성의 완성
7) 석조고딕 모티프의 지속과 변용: 농과대학 (1955 - 56), 외인교수사택(1956), 신관 (1956 - 57) 및 여학생회관 (1958) 076
3. 근대주의 건축의 도래 및 캠퍼스 마스터플래닝: 1960 - 85년
1) 과학관 (1959 - 60)
2) 이공대학 본관 (1957 - 64)
3) 홍보관 (1966 - 68)
4) 캠퍼스 마스터플랜 (1968 - 69)
5) 정문 (1965; 1971)
6) 학생회관 (1970 - 71) 및 상과대학 종합교사 (1970 - 72)
7) 중앙도서관 신관 (1974 - 77)
8) 과학도서관 (1982 - 83)
9) 법학관 (1983 - 84) 및 정경관 (1983 - 84)
4. 캠퍼스 확장 및 건축의 현대화: 1985 - 2000년
1) 안암병원, 의과대학, 의학도서관 (1987 - 91)
2) 인촌기념관 (1989 - 91)
3) 기초과학센터 서울분소 (1992 - 93), 테크노콤플렉스[공학관+산학관] (1994 - 96), 이학관 (1994 - 96)
4) 교우회관 (1994 - 96)
6) 4.18기념관 (1996 - 98)
7) 아이스링크 (1996 - 98)
8) 애기능 생활관 (1998 - 99)
9) 한국학관 (1997 - 99)
10) 국제관 (1997 - 99)
11) 생명과학관(녹지) (1997 - 2000)
5. 100주년 기념사업 및 세계고대 1000년을 향한 도약: 2000년 - 현재
1) 중앙광장 (1999 - 2002)
2) 타이거플라자 (2004)
3) 백주년기념삼성관 (2002 - 05)
4) 하나스퀘어 (2005 - 06)
5) 해송법학도서관 (2006 - 07)
6) 미래융합기술관 (2006 - 08)
7) 운초우선교육관 (2008 - 10)
8) 미디어관 (2009 - 11)
9) 로봇융합관 (2009 - 11)
10) 현대자동차경영관 (2011 - 13)
11) 미래공학관 (2013 - 공사 중)
제2부 고려대학교 건축물 일람
1. 인문사회계
2. 자연계
3. 녹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