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서론
1장 전통음악의 분석: 방법론 탐색의 논의
2부 진도씻김굿, 그 음악의 체계
2장 진도씻김굿음악의 체계적 접근
3장 진도씻김굿의 미적 경험과 의미화
4장 진도씻김굿음악의 형식과 구조 1: 범주와 단위양상논의
5장 진도씻김굿음악의 형식과 구조 2: 반복, 순환, 발전, 그리고 열림의 양상
6장 진도씻김굿에서 연행되는 제석굿의 음악적 구성원리
3부 씻김굿 연행자, 진도당골과 고인의 세계
7장 진도당골의 연행양식과 개성
8장 진도당골의 즉흥성 1: 분석과 형가
9장 진도당골의 즉흥성 2: 그 퇴화양상
10장 진도당골의 개성과 수월성의 생성기반
11장 진도 세습무 박씨 계보와 인물
4부 진도씻김굿, 그 변화의 분수령을 넘어서
12장 진도씻김굿 변화의 분수령, 문화재 지정과 강신무의 개입
13장 굿 연행현장의 다각화를 거쳐 이행된 탈(脫)전통의 양상
14장 무속 사령굿 씻김굿의 상징적 드라마, 그리고 그와해의 징후
후기_한 음악장르에 천착하여 탐구하는 이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