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ㆍ4
서론|
제1장_ 이제마의 사상체질적 인간과학과 문화이론적 단초ㆍ21
제2장_ 이제마의 생애와 사상ㆍ47
제3장_ 사상체질론의 유학적 기초ㆍ64
제1부| 이제마 사상체질론의 철학적 이해
제1장_ 성명론과 인식·행위능력 및 직관과 재능ㆍ77
1. 천기와 인사 · 80
2. 직관적 분별감각과 천부적 재능 · 88
제2장_ 사단론과 사상체계의 기본논리ㆍ96
제3장_ 확충론과 사상인의 체질적 특징ㆍ108
1. 인식·행위능력과 직관·재능의 사상인적 차별성 · 108
2. 사상인의 성정과 희로애락 · 123
3. 사상인의 성기와 정기 · 138
제4장_ 장부론ㆍ160
제5장_ 변증론과 사상인의 판별ㆍ170
1. 한국의 사상인 인구비 · 170
2. 사상인의 판별 · 173
3. 체질판별의 장애물들 · 192
제2부| 사상체질론의 섭생론적 확장
제1장_ 사상인의 건강상태와 일반적 섭생론ㆍ201
제2장_ 사상인의 유익한 식품과 해로운 식품ㆍ214
제3장_ 체질섭생과 사회계층 간의 관계ㆍ229
제3부| 이제마의 사상유학과 정치철학적 확장
제1장_ 사상인 [간의 상생과 상극ㆍ239
1. 체질적 화합·배척(상생·상극)관계 · 240
2. 화합·배척의 정도 · 248
제2장_ 사상유학ㆍ253
1. 사상유학의 개요 · 253
2. 사상유학의 체질도덕론 · 262
3. 사상인의 도덕적 차별태 · 278
제3장_ 사상인과 정치적 리더십ㆍ282
1. 체질과 정치의 관계 · 282
2. 사상체질과 리더십의 유형 · 292
제4부| 세계 각국의 사상체질적 국민성과 민족문화
제1장_ 국민성 또는 민족문화ㆍ308
1. 몽테스키외의 풍토결정론적 문화론 · 308
2. 데이비드 흄의 공감론적·정신결정론적 민족문화론 · 316
3. 칸트의 혈통기질결정론 · 320
4. 마르크스의 경제(물질)결정론 · 325
5. 패치워크문명론 · 326
6. 사상체질론적 국민성 이론(민족문화론) · 334
제2장_ 다체질의 나라ㆍ339
1. 태·소음인 우세의 다체질 국가, 대한민국 · 341
2. 소양인 우세의 다多체질 국가, 중국 · 470
3. 사상인을 네 카스트로 둔갑시킨 태·소음인 우세 국가, 인도 · 486
4. 태음·소양 양兩체질의 보혁상생 국가, 영국 · 514
5. 소음·소양 양兩체질의 보혁상극 국가, 러시아 · 551
제3장_ 소양인의 나라ㆍ562
1. 미래비전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양인의 나라’, 미국 · 566
2. 소양인적 멋과 맛, 창의와 광명의 나라, 프랑스 · 583
3. 멋진 소양인 배우들의 나라, 이탈리아 · 617
4. 용출하는 소양인적 ‘정열과 장엄미의 나라’, 스페인 · 638
제4장_ 소음인의 나라ㆍ648
1. 소음인적 모방·축소·표절·엽기·과거조작의 나라, 일본 · 649
2. 소음인적 낭만과 엽기적 잔학행위의 나라, 독일 · 684
3. 돼지고기를 율법으로 금하는 ‘소음인의 나라’, 이슬람제국 · 721
책을 마치며| 세계적 리더십의 체질적 향방ㆍ731
부록| 「東醫壽世保元」(원문)ㆍ741
참고문헌ㆍ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