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I. 검술을 결정하는 요인들
1. 검술을 향한 의지
2. 검술을 연마하는 목적
3. 마음의 수련
4. 검술에 대한 비판적 혁신 수준
5. 검술의 적용범위와 스포츠
6. 자세의 근본원리
7. 시간, 공간, 각종 동작, 정신 등등의 여러 요인들의 최적 결합
8. 격자 몸 부위별 관련된 검술동작
9. 직접공격과 간접공격
10. 페인트 모션
11. 공간이용 호신
12. 기타 동작의 원리
13. 몸의 컨디션 여하
II. 호신검술의 특징
1. 공격검술의 머리치기에 대한 비판
2. 상대에 대한 시선을 무조건 놓치지 않는다
3. 퇴격을 많이 사용한다
4. 처음의 중단자세 위치까지 피함
5.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면서 격자
6. 자기 등을 상대에게 보이지 않는다
7. 대결 장소의 공간을 줄인다 .
8. 윗머리가 아닌 이마머리를 공격
9. 페인트모션을 잘 활용한다(병법의 축소판)
10. 항상 존심(存心)유지의 특징
11. 평탄하지 않은 지면을 가정
12. 목찌르기의 중요성
III. 호신검술의 심판규정 및 제안사항
1. 호신검술의 심판 규정이 다르다
2. 맞은 것은 맞은 것이다
3. 상격의 경우는 양쪽 다 실패한 것
4. 시합은 한판승으로
5. 균형을 잃어 스스로 넘어지면 패배
6. 몸기술 적용은 반칙
7. 고단자는 무조건 쌍방의 부상에 책임이 있다
8. 호신검술의 보호장비
9. 안전문제를 제외하고는 실전에 최대한 가깝게 호신검술의 개발
10. 호신검술이 필요없는 경우
11. 공인검도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