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_ 매력적인, 그러나 빗나간 ‘위로부터의’ 악론
서론_ 『악서고존』 어떤 책인가
0.1 정약용과 악서고존
0.2 연구사의 ‘틈’과 ‘벽’
0.3 이 책의 구성
1_ 정약용의 전제들
1.1 고악 회복의 이념(제1소서)
1.2 율이 성보다 먼저
1.3 변성과 청성의 다른 이해
1.4 수도를 정하면 소리는 따라온다(도선성후)
1.5 악기의 표준은 종(주종설)
2_ 역대 악률론 비판
2.1 악을 망친 좀벌레들(제2소서)
2.2 율관과 후기법 부정
2.3 삼분손익법과 변율 부정
2.4 선궁과 60조 부정
2.5 오행ㆍ십이월ㆍ팔괘ㆍ삼재 연관 부정
2.6 정약용이 비판하지 않은 두 사람
3_ 정약용의 악률론
3.1 스스로 일가를 세우다(제4소서)
3.2 으뜸수 81(황종 원수)
3.3 육률론
3.4 오성론
4_ 정약용의 악기론
4.1 율척
4.2 정약용 악기론의 실제
4.3 조선악에 대한 태도
5_ 아래로부터의 비판
5.1 정약용 악기론의 오류
5.2 정약용 악률론의 무리
5.3 형이상학적 독단
나가며_ 악서고존의 가치
참고문헌
부록
1. 정약용 대 모기령
2. 악서고존 서(별서)
3. 『악서고존』 영인(규장각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