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7
1. 연구의 취지 9
2. 연구의 주요 참조계 15
3. 문제의식과 접근법 20
제2장 전통국가와 그 쇠락 25
1. 전통국가와 전통상태 27
2. 황권전제주의 체제 30
3. 유교주의 관료제 37
4. 막번체제 44
5. 체제와 이념 특성 50
6. 쇠락의 주요 원인 59
7. 소결 69
제3장 국가의 이행논리 57
1. 이행방식 77
2. 유신과 역행 83
3. 수동적 독립과 자주적 이행 92
4. 정치운동 100
5. 혁명과 발단 110
6. 동아시아의 해방과 자유 118
7. 소결 126
제4장 국가재건의 주요 측면 135
1. 고찰의 시각 137
2. 건국의 기본이념 140
3. 체제와 기제 150
4. 국가의 자주성과 능력 160
5. 문책제와 국가건설 167
6. 소결 175
제5장 국가와 사회 및 현대성 183
1. 민족국가와 국민국가 185
2. 국가의 네 가지 상과 본질 192
3. 현대성 203
4. 神聖化와 세속성 211
5. 他者원리와 無中生有의 능력 217
6. 소결 226
제6장 결론 233
1. 기획과 진화의 현대화 235
2. 제도화: 蠻力과 至理 사이 241
3. 권위와 지식인 엘리트 249
4. ‘사람’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