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관 7
CHAPTER 1 자해의 본질적 요소: 개입 이전에 이해해야 할 것
자해와 자살 15
자해: 유형과 수/숫자 19
용어 22
자기 손상 24
성별과 자해 28
나이와 자해 36
챕터 요약 40
학습한 내용 실무에 적용하기 41
CHAPTER 2 고통의
구체화: 자해의 기능
체화(Embodiment) 48
신체적 및 상징적 기능 49
사회적 및 정치적 기능 57
정서적 및 대인관계적 기능 70
기능과 역기능: 대처의 결과 78
챕터 요약 81
학습한 내용 실무에 적용하기 83
CHAPTER 3 내면 세계: 당신이 된다는 건 어떤 것인가?
내면세계와 자해 90
학대 90
방임 97
상실, 사별 및 비애 103
입원/보호시설 106
적대적 돌봄 110
괴롭힘 113
챕터 요약 116
학습한 내용 실무에 적용하기 118
CHAPTER 4 사회적 모델: 맥락의 중요성
성적 지향 126
장애 132
사회계층 137
민족성과 인종차별주의 143
챕터 요약 149
학습한 내용 실무에 적용하기 151
CHAPTER 5 도움이 되는 반응하기: 체화되고 사회적인 개입
도움이 되는 대응하기: 치료적 관계 158
도움이 되는 대응하기: 강점 기반 접근법 161
체화된/사회적인 개입 162
교육 164
예술기반 작업 167
명상과 마음 챙김 174
대체요법: 치료가 아닌 치유 177
동료집단 180
챕터 요약 190
학습한 내용 실무에 적용하기 192
CHAPTER 6 안전 유지하기: 위해 감소
위해 감소는 무엇인가? 200
위해 감소의 기원 201
왜 위해 감소인가? 205
위해 감소의 실제 210
챕터 요약 235
학습한 내용 실무에 적용하기 237
CHAPTER 7 정책: 최선의 개입하기
휼륭한 자해정책을 위한 맥락 246
모범 실무 250
자해정책 작성하기 253
챕터 요약 273
학습한 내용 실무에 적용하기 274
CHAPTER 8 에필로그 끝까지 해내기: 제스트의 사례연구(북아일랜드)
탄생과 정신 292
서비스와 성과 293
부록 297
찾아보기 303
참고문헌 305